혜강 최한기 연구(실학연구총서 12)

  • 사람의무늬
  • 인문
    • 기획도서
    •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
  • 재단법인 실시학사 지음
출간일 2016-10-20
ISBN 979-11-5550-182-5 93150
면수/판형 신국판(152 X 225)·484쪽
가격 25,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실학사상의 거대한 전회(轉廻)

    과학적 실학자 최한기의 모든 것

     

    조선 후기의 실학자 혜강 최한기(1803~1877)는 선현들의 기철학(氣哲學)을 계승하여 고도로 발전시킨 동시에, 이전 실학자들이 도입해놓은 서양의 과학지식을 극대화시킨 인물이다. 나아가 최한기의 학문은 시민적 입장에 한 걸음 더 다가선 실학이었기에, 이른바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가교자’로서 그의 사상사적 위치가 정립되기도 한다. 이 책은 최한기에 대해 다섯 명의 학자가 각기 주제―최한기 학문의 거시적 체계, 기학의 철학적 내용, 정치사상, 세계인식, 자연철학―로 심화된 연구를 진전시킨 후, 중간발표와 집담회를 거치면서 그의 사상과 학문의 입체를 구상해본 결과의 기록이다. 실학사상의 계승 발전을 위해 설립된 재단법인 실시학사가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발간하는 ‘실학연구총서’의 열두 번째 책이다.

     

     
    각 논문의 개요


    이 책의 첫 번째와 두 번째에 실린 이우성의 「최한기의 가계와 연표」, 「최한기의 생애와 사상」은 최한기의 생애와 사상을 간명하게 탐구한 최초의 글로 최한기 연구에 있어 연구사적 의미가 큰 글이다. 특히 두 번째 글은 최한기의 「양한정기(養閒亭記)」를 통해 그의 ‘고상하고도 건전한 한 시민의 생활철학’을 드러냈고, 사상사적 위상을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가교자’로 제시했다. 독자들은 이 두 편의 글을 통해 최한기의 생애와 기학 형성의 사회적 배경과 사상의 대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손병욱의 「최한기 기학(氣?)의 학문체계 탐구』는 최한기가 정립한 기학의 학문체계가 갖는 특징을 탐구한 것으로, 기학은 삼대운화(三大運化)와 사등운화(四等運化)를 그 기본적인 틀로 삼는 운화기(運化氣) 철학이라고 했다. 그는 삼대운화는 최한기가 명시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기학의 전모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면서, 활동운화(活動運化)ㆍ천인운화(天人運化)ㆍ통민운화(統民運化)의 삼대운화를 알면 기학의 천관ㆍ인간관ㆍ수신관ㆍ경세론을 모두 알 수 있다고 했다.


    허남진의 「최한기의 기학과 경험적 인식론」은 최한기의 학문관이 기존 학자의 학문관과 다른 점을 살피고 기학의 학문적 목적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의 모든 사상을 꿰뚫고 있는 기(氣) 개념의 특징을 검토했다. 그는 최한기의 기학이 전통적인 성리학의 기와 다른 점을 강조하고, 그 다른 점에서 서구의 자연과학이 수용되고 전통적인 세계관이 부정ㆍ재편성될 수 있는 소지가 있음을 밝히려고 했다. 아울러 최한기의 기학은 직관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성리학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근대적인 사유방식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체계화되고 의미 있는 사상체계라는 평가를 내렸다.


    백민정의 「최한기 정치사상의 재조명」은 최한기의 통민운화의 정치가 그의 전체 철학에서 어떤 위상과 의미를 차지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어 최한기의 국인공치론(國人共治論)에 보이는 다양한 정치적 통찰과 함의를 검토했고, 그의 독특한 인식론과 공부법이 공적인 정치여론의 형성 과정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밝혔다. 그 결과 최한기의 정치사상은 유교적 소양의 지식인이 상상할 수 있는 전통의 새로운 변주, 즉 독창적인 자기 전통의 재구성 사례의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추측(推測)과 측험(測驗)의 인식론적 방법론을 도입하고, 운화기라는 자연의 이념적 준거를 통해 정치적 공론의 수렴과 형성 과정을 해명하려고 시도했던 점, 공치의 다양한 정치모델을 숙고하면서 상이한 욕망의 주체, 정치적 주체로서의 인간에 주목했고, 대중의 이질적 욕망을 조율하는 방법을 모색했던 점 등은 독특한 정치사상가로서 최한기 사유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권오영의 「최한기의 기화론(氣化論)과 세계인식」은 최한기가 새로운 세계와 소통하기 위해 정립한 사상적 개념의 역사적 추이를 검토하고, 그의 세계인식의 실상에 대해 탐구했다. 필자는 1830년대에 최한기가 제시한 신기(神氣)와 추측 개념이 세계 각국의 인물과 자연과 사회를 소통하고 취사 수용하기 위해서였다면, 1850년대의 기화(氣化)와 운화 개념은 천지의 순환과 변화 속에서 세계 각국의 인물과 자연과 사회의 실상을 이해하여 수용하고자 한 목적에서 제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전용훈의 「최한기의 중력이론에 나타난 동서의 자연철학」에서는 최한기가 지구설과 지구의 자전설ㆍ공전설에 부여한 의미는 서양과학사적 맥락의 그것과 달랐다고 하면서, 최한기는 지구설과 자전설ㆍ공전설을 기의 활동을 보여 주는 증거로 긍정하고 인용했다고 말한다. 최한기가 누구보다도 먼저 서양의 이론을 긍정했던 것은 그것이 근대 과학적 사실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기학적 원리와 추론을 지지해주는 이론이었기 때문이다. 최한기는 자연현상에 관한 사실적 정보는 서양과학으로부터 받아들였지만, 그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과 현상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은 기학적 자연철학으로 해명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  집필진 |

     

    ? 이우성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손병욱    경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 허남진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 백민정    가톨릭대학교 인문학부 교수
    ? 권오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전용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재단법인 실시학사

    실학사상의 계승 발전을 위해 설립된 공익 재단법인이다. 다양한 학술 연구와 지원 사업, 출판 및 교육 사업 등을 수행하며, 실학사상의 전파와 교류를 위해 힘쓰고 있다. 1990년부터 벽사 이우성 선생이 운영하던 ‘실시학사’가 그 모태로, 2010년 모하 이헌조 선생의 사재 출연으로 공익 법인으로 전환되었다.

    경학 관계 저술을 강독 번역하는 ‘경학연구회’와 한국 한문학 고전을 강독 번역하는 ‘고전문학연구회’라는 두 연구회를 두고 있으며, 꾸준하게 실학 관련 공동연구 과제를 지정하여 그에 맞는 연구자들을 선정?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실학 연구자를 육성하고 연구 결과물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이번에 상재하는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도 그의 소산이다. 앞으로 아직 세상에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실학자들의 문헌을 선별해 오늘날의 언어로 옮기며, 실학의 현재적 의미를 확인해 나갈 것이다(홈페이지 http://silsihaksa.org).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 간행사 ?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 이 책을 내면서 

    ? 최한기의 가계와 연표 ? 이우성 ?
    1. 최한기의 가계
    2. 최한기의 연표

    ? 최한기의 생애와 사상 ? 이우성 ?
    1. 실학의 전회(轉回)
    2. 양한정(養閒亭)
    3. 개화사상의 가교(架橋)

    ? 최한기 기학(氣?)의 학문체계 탐구 ? 손병욱 ?
    1. 머리말
    2. 기학의 학문적 성격
    3. 과학으로 본 기학
    4. 기학의 학문적 독창성
    5. 맺음말

    ? 최한기의 기학과 경험적 인식론 ? 허남진 ?
    1. 기학(氣學)
    2. 전통 학문―성리학(性理學), 노장(老莊), 불교(佛敎), 서교(西敎)
    3. 신기(神氣)
    4. 천지(天地)의 기(氣)
    5. 형체(形體)의 기(氣)와 수(數)
    6. 추측(推測)
    7. 경험(經驗)과 윤리(倫理)
    8. 맺음말

    ? 최한기 정치사상의 재조명 ? 백민정 ?
    1. 들어가는 말
    2. 최한기 철학에서 통민운화(統民運化)와 정치의 위상
    3. 민원(民願)에 기반한 국인공치(國人共治)의 정치적 함의
    4. 정치 공공성의 의미와 공론(公論)의 수렴 과정
    5. 나가는 말

    ? 최한기의 기화론(氣化論)과 세계인식 ? 권오영 ?
    1. 머리말
    2. 기화와 운화 개념의 연원과 변모
    3. 세계인식의 방법론과 범주
    4. 기화와 인도 중심의 세계인식
    5. 맺음말

    ? 최한기의 중력이론에 나타난 동서의 자연철학 ? 전용훈 ?
    1. 머리말
    2. 서양 중세의 자연철학과 중력이론의 전래
    3. 기 중심적 자연철학과 중력이론의 탐색
    4. 기학적 중력이론의 확립
    5. 기륜설의 고안과 뉴턴 역학 비판
    6. 맺음말

    ?『혜강 최한기 연구』 집담회
     
    ? 혜강 연구논저 목록
    ? 찾아보기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