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제물론

  • 출판부도서
  • 인문
  • 김정탁 지음
출간일 2013-10-31
ISBN 979-11-5550-000-3
면수/판형 신국판(152 X 225)·216쪽
가격 15,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장자 사상의 총체적인 면모가 제시되어 있는 <제물론>을 한 부분도 빠뜨리지 않고 모두 해석한 해설서”

     

    이 책의 출간의의는?

    장자서는 내편(內篇) 7편, 외편(外篇) 15편, 잡편(雜篇) 11편 등 총 3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편은 장자가 직접 쓴 글이라고 보아지고, 외편과 잡편은 장자 제자들이나 장자를 흠모하는 사람들에 의해 쓰인 글이라고 보아진다. 그래서 장자 사상의 본류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선 내편 7편 <소요유(逍遙遊)>, <제물론(齊物論)>, <양생주(養生主)>, <인간세(人間世)>, <덕충부(德充符)>, <대종사(大宗師)>, <응제왕(應帝王)>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제물론>이 가장 중요하다. 장자서 전체의 이론적 틀을 담당하는 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자> 33편 글 중 유일하게 ‘론(論)’이라는 말을 제목에서 사용한다. 그런데 장자를 공부하는 사람들도 중도에 독해를 포기할 정도로 <제물론>은 그 내용이 난해하기 짝이 없다. 이런 마당에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는 학자가 굳이 장자를 왜 연구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물론 저자도 처음부터 장자서 독해를 시도한 것은 아니다. 서양 커뮤니케이션학이 제대로 풀어내지 못한 소통 문제를 연구하다 보니 유불선으로 대표되는 우리의 전통 사상과 자연스럽게 만나게 되었다. 우리들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감각과 그 감각의 연장인 언어에 대한 내용이 유불선 사상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고 있어서이다.

     

    그렇다면 제물(齊物)이 뜻하는 바는 무엇일까?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물(物)’을 ‘제(齊)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제(齊)한다’는 것은 ‘같게 하다’, ‘가지런히 하다’, ‘하나로 하다’란 의미를 지니기에 제물이란 ‘사물을 고르게 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세상 만물은 크기나 색깔, 또 그 느낌마저 다르기 때문에 사물이 제물 상태로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렇지만 드러난 외형은 다를지라도 우리들의 마음에서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공자가 완성된 인간의 모습으로 말한 이순(耳順), 즉 좋은 소리나 싫은 소리나 똑같이 들리는 상태도 이런 경우에 속할 것이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의 해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 제물론이 일관되게 추구하는 주제이다. 

     

    그래서 장자가 말하는 제물은 우리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대상을 하나로 해서 서로 다른 사물들을 일률적으로 획일화하자는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하나로 하다’에서 ‘하나’는 획일화된 하나가 아니라 다양함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조화와 일치의 의미를 지닌 하나이다. 그래서 ‘하나로 하다’는 이것과 저것 중에서 한쪽을 택하자는 것이 아니라 이것과 저것 모두를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것이 시비를 초월한 세계, 즉 ‘제일(齊一)’, ‘제동(齊同)’, ‘여일(如一)’의 세상이다.

     

    <제물론>은 이런 식으로 세상만물이 우리들의 마음에서 어떤 차별이 생겨나지 않은 채 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찾으려고 하는 장이다. 장자서의 다른 장은 몰라도 <제물론> 편만은 정확히 이해해야만 장자 사상의 깊은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어쩌면 <제물론>만 옳게 이해하면 <장자> 나머지 장들을 굳이 읽을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장자가 말하려는 바가 <제물론>에 총체적으로, 또 함축적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제물론>은 중국 철학사의 최고봉이라고 할 정도로 중국 사상서 전체를 통틀어서 가장 빼어난 내용들로 구성된 사상의 으뜸가는 보고이다. 이 책은 장자서 <제물론> 첫 장인 남곽자기의 상아(喪我)에서부터 ?제물론? 마지막 장인 나비의 꿈(胡蝶夢)에 이르기까지 한 부분도 빠뜨리지 않고 모두를 해석했다. 아마도 이렇게 모두 해석한 해설서는 국내에서는 처음이 아닌가 생각한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김정탁

    지리산 경상남도 쪽 언저리 산청군 생초면에서 태어난 저자는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졸업해선 중앙일보에 입사했다. 기자로 3년여를 일하다 미국 유학을 떠나 미주리대에서 언론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받은 뒤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 교수로 부임해서 근무하다 정년 퇴직했다. 커뮤니케이션을 동아시아사상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을 평생의 목표로 삼아 <장자> 내편, 외편, 잡편의 역소를 펴냈다. 그 밖에 저서로는 <: 한국인의 의사소통 사상을 찾아서>와 <노장 공맹 그리고 맥루한까지>, <: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머리말

    들어가는 말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방법론으로서 제물론

    제물론 1

      1. 사람의 퉁소 소리(人?)·대지의 퉁소 소리(地?)·하늘의 퉁소 소리(天?)

     

    제물론 2

      1. 큰 지혜는 여유롭고(大知閑閑), 작은 지혜는 촘촘하다(小知閒閒) 큰 말은 힘이 있고(大言炎炎), 작은 말은 수다스럽다(小言詹詹) ?큰 지혜는 여유롭고(大知閑閑), 작은 지혜는 촘촘하다(小知閒閒) ?큰 말은 힘이 있고(大言炎炎), 작은 말은 수다스럽다(小言詹詹)

     

    제물론 3

      1. 오른쪽 뺨을 맞고서도 어떻게 해야 왼쪽 뺨까지 내밀 수 있을까?

      2. 오늘 월(越)나라로 가서 어제 월나라에 도착했다?

      3. 말은 우리 몸 안에서 내뿜는 단순한 바람 소리일까?

      4. 만물은 저것 아닌 게 없고(物無非彼), 만물은 이것 아닌 게 없다(物無非是)

      5. 최고 미녀인 서시와 추한 문둥이도 그 모습은 매한가지다

     

    제물론 4

      1. 천지도 하나의 손가락(天地一指), 만물도 한 마리의 말(萬物一馬)

      2.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우화 ?아침에 셋, 저녁에 넷(朝三暮四) ?천균(天鈞)·인시(因是)·양행(兩行) ?양행(兩行)과 대동(大同)

      3. 비움(虛)만이 최고의 지혜로운 경지

      4. 이루어짐(成) 뒤에 허물어짐(虧)은 동시에 생겨난다

     

    제물론 5

      1. 날고 있는 화살은 정지해 있다?

      2. 8백 살까지 산 팽조도 일찍 죽은 셈이다

      3. 도(道)에는 구분이 없고, 말(言)에는 고정된 의미가 없다

      4. 도(道)·변(辯)·인(仁)·염(廉)·용(勇)―모가 난 게 아니라 둥근 것이다

     

    제물론 6

      1. 인간의 생각이 세상만물을 재단하는 기준일까?

      2. 인위(人爲)의 성인관과 무위(無爲)의 성인관

      3. 그대나 나나 모두 ‘눈을 뜨며’ 꿈을 꾸고 있습니다

      4. 만연(曼然)에 나를 맡기고, 천예(天倪)로서 조화를

     

    제물론 7

      1. 짙은 그림자(景)와 옅은 그림자(罔兩) 간의 논쟁

      2. 나비의 꿈(胡蝶夢)

     

    부록―소요유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