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정원, 에덴의 정치학

  • 출판부도서
  • 자연
  • 안자이 신이치 (安西 信一 ) 지음
  • 김용기, 최종희역자
출간일 2005-02-28
ISBN 89-7986-588-0 03610
면수/판형 46배판(188 X 257)·332쪽
가격 20,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책소개

    초원의 포근한 능선 위를 거닐며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양들의 모습, 눈을 돌려보면 어디선가 흘러왔을 법한 물줄기가 보이고 호수 언저리에는 적당히 오래된 이야기가 있을 법한 다리가 놓여 있는 어찌 보면 지극히 당연한 풍경화적 군상들이다. 이것이 영국 풍경식 정원이다. 그러나 이 풍경식 정원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우리가 알지 못하는 이념과 정치적 내막이 복잡하게 마치 기계를 작동시키는 부속품처럼 조합되어 있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기실로, 영국 풍경식 정원의 조성은 우리의 1960년대 새마을 운동과 같은 것이었다. 전국토의 낙원화라는 기치를 내걸고 영국의 국민 개개인으로부터 비롯된 자국의 전영토를 정원으로 만들기 위해 실시한 공공적 사업이었다. 이 국가적 사업을 리드한 것이 소위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던 상류층 부르주아를 포함한 엘리트층 지주들이었다. 그러나 토지의 개량과 광대한 정원의 조성은 전통적 농촌파괴와 자연과 인간의 괴리, 노동자의 착취를 은폐하는 수단으로 전락하는 부작용을 배태하기도 하였다.

     

    오늘날의 정원이 미와 기능을 함께 담아야 한다는 명제를 창출한 영국 풍경식 정원의 탄생은 수천 년 동안 정형식 일변도로 일관해온 서양조경 문화사에서 획기적인 대 사건이었다. 이 책은 영국 풍경식 정원과 관련된 철학자의 사상;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대한 예리한 성찰에서부터 영국 농경시의 텍스트 하나에 이르기까지 놀라운 식견으로 산재된 이론들을 묶고, 그 연관성 속에서 풍경식 정원과 미학이론과의 관계를 명쾌하게 이끌어 내고 있다. 지금까지 조경사 분야에서 등한시되어왔던 정원문화에 대해 형이상학적으로 접근하여; 정원과 역사와 철학을 진지한 논조로 풀어낸 수준 높은 이론서이다. 조경학은 물론 인문학이나 미학; 철학; 역사분야의 전공자에게도 충분한 읽을거리와 고민거리를 함께 던져주고 있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안자이 신이치 (安西 信一 )

    1960년 지바현千葉縣에서 출생하였고, 1985년에 동경대학 문학부 제1류第一類 미학예술학 전공과정을 졸업하였다. 1991년 동경대학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에서 미학예술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히로시마廣島 대학 종합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예술문화의 에콜로지>(勁草書房 1995), <제예술諸藝術의 공생共生>(溪水社 1995), <예술학의 100년>(勁草書房 1995) 등이 있다.

    김용기

    1944년 서울에서 태어나 1971년 건국대학교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1980년 일본 큐슈대학에서 「Rock Garden 및 석락지 녹화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1980년부터 현재까지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기도 문화재 위원이다.

    최종희

    1964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1990년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이탈리아 국립 제노바 대학교 건축대학에서 「Project of Co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the Rear garden of naksonjae Changduk Palace」로 박사학위를 받고, 2004년 9월부터 현재까지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옮긴이의 말

    일러두기

    머리말

    들어가며/낙원과 보편언어

     

    제1부 풍경식 정원의 원류(17세기): '폐쇄된 정원'에서 '개방된 정원'으로

    1장 '폐쇄된 정원'의 역설과 정원 파괴

    2장 복낙원으로서의 영국

    3장 시민적 인문주의와 쾌락주의

     

    제2부 공공정신으로부터 탄생한 풍경식 정원(18세기 전반)

    4장 정원의 입헌군주제

    5장 어울리지 않는 어울림

     

    제3부 풍경식 정원의 변질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6장 몽상미학의 성립과 해체

    7장 '개방정원'의 종말

     

    마치며/내부로서의 정원과 외부로서의 정원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