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등시화-유배지 등불 아래서 쓰다

  • 출판부도서
  • 인문
    • 기획도서
    • 시화총서
  • 정만조 지음
  • 안대회, 김보성역자
출간일 2018-08-15
ISBN 979-11-5550-283-9 93810
면수/판형 변형판 148x220·324쪽
가격 19,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조선 말기 시문학 비평의
    독보적 시선
    정만조의 용등시화

     

    1906년 어름, 고종 시대와 일제강점기의 저명한 시인이자 관료였던 정만조는 유배지 진도에서 시 비평집 『용등시화』를 쓴다. 용나무 창가 호롱불 아래서 쓴 시화라는 제목 하나만으로도 적적한 섬 한가운데서 등불을 밝혀놓고 글을 쓰는 문인의 애틋한 모습이 인상적으로 떠오른다.

    무엇보다 이 책 『용등시화』는 한시사를 바라보는 저자만의 탁견이 빚어낸 남다른 문학 저작이다. 그는 대부분의 일제강점기 문학사가들처럼 한문학의 전개를 18세기 이후 쇠퇴기에 접어들어 조선 말기 이후 한문종자가 끊어지는 과정으로 매듭짓지 않았다. 오히려 동시대 시단의 전개과정을 계승하여 발전하는 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객관성과 균형감을 확보했다. 특히 주요 시인들의 문학적 위상을 제대로 짚어내고, 고종 시대 한시단으로 이어지는 맥락을 분명하고 참신하게 제시하여 비평사가로서 뛰어난 안목을 보여주었다. 이 책을 통해 그가 세워낸 문학사의 구도와 비평적 시각은 20세기 이후 독자적 견해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한문학자 안대회 교수는 조선 후기 시화사로 박사학위 논문을 쓴 지 25년 만에 고대하던 이 저술을 발견하고 현대어로 옮겨 세상에 내놓으면서, 비록 훗날 저자가 친일행각을 본격화하며 매도와 질타의 대상이 되어갔지만, 『용등시화』와 그에 실린 내용만큼은 그런 결함과는 무관하게 조선 말기 한시단과 지성계를 이해하는 뛰어난 저술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용등시화 홍보 이미지.jpg

     

     

    시대의 실상을 증언하는
    용등시화의 가치


    『용등시화』는 19세기 후반 고종 시대 시단을 전체적으로 조망한 거의 유일한 사료다. 불행하게도 조선 말기 고종 시대의 문단과 문인의 활동상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 남아 있는 사료가 부족하다. 전통과 근대가 충돌하면서 전통에 속하는 모든 것들이 거침없이 허물어지는 시기라 차분하게 직접 체험한 시대의 문화예술을 되짚어보는 여유를 누리지 못했던 까닭이다. 특히 중추적 인물들이 자신의 활동을 회고하는 저술을 남기지 못했다. 이 점에서 『용등시화』는 대단히 큰 위상을 점한다.

    실제로 『용등시화』에는 저자 자신이 체험한 시창작의 현장이 재현되어 있다. 강위ㆍ이상수ㆍ정기우ㆍ김윤식ㆍ이중하ㆍ여규형ㆍ김택영ㆍ이건창ㆍ황현ㆍ이남규와 같은 당대 주요 작가를 포함하여 군소 작가 수십 명의 생생한 일화와 시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현재 전하는 어떤 저술도 이만한 규모로 그 시기 시단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 밖에도 대원군ㆍ김홍집ㆍ어윤중ㆍ민영목ㆍ김옥균ㆍ유길준 등 조선 말기 정계의 저명한 인물들의 시와 일화도 실려 있는데, 이 또한 다른 어떤 문헌에서도 볼 수 없는 기록이다.

    『용등시화』가 지닌 두 번째 가치는 ‘남사(南社)’라는 고종 시대 시단을 대표하는 시사(詩社)의 활동을 풍성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남사는 한양의 남쪽, 곧 남산 북쪽의 회현방(會賢坊)을 중심으로 창작 활동을 함께한 시사이다. 소론 문인이 주도하여 홍기주ㆍ이중하ㆍ정기우ㆍ여규형ㆍ이건창ㆍ정만조 등이 주축이 되고, 여기에 많은 시인들이 참여하였다. 시화 곳곳에서 이른바 ‘남사제명승(南社諸名勝, 남사의 여러 명사)’들이 벌인 시회의 현장과 거기에서 창작된 작품과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세 번째로 말할 수 있는 가치는 『용등시화』의 내용 대부분이 간접 견문이나 독서를 통해 얻어진 것이 아니라 저자가 직접 체험한 시단의 실상과 많은 시인들과 교유한 양상, 그리고 주고받은 작품에 대한 평론이라는 점이다. 시단 현장의 견문과 체험이 그 현장에 있었던 저자의 손끝을 통해 독자에게 직접 생생하게 전달된다. 이는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가치이다. 다른 저술의 내용을 재론하거나 재인용하지 않고, 거의 모두 직접 보고 확인한 사실과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썼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는 남다르다. 다시 말해 『용등시화』는 저자가 증언하는 고종 시대 시단의 활동상이면서 동시에 지성인들의 숨겨진 일화를 기록한 빼어난 야사의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당시 역사를 이해하는 데 충분히 가치 있는 사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네 번째로 꼽을 수 있는 가치는 현재에는 거의 존재가 묻힌 여항시인이나 지방문인의 존재와 작품의 성취를 크게 부각시킨 점이다. 남사와 관련을 맺은 유명 무명의 시인들이 시화에는 다수 등장한다. 시를 잘 지은 이학원이 이건창의 소개로 시사에 처음 나온 사연(21칙), 순창 아전의 아들로 시를 잘 지은 이현식(22칙), 충청도 강경의 객주로 시를 잘 지은 방달주(34칙), 경상도 영덕 아전의 서자인 주효상(35칙), 하동 출신 시인 성혜영과 김창순(60칙), 순창의 시인 설규석(80칙), 호서의 떠돌이 시인 심상모(82칙), 강경의 시인 초강 김상우 부자(85칙), 영해민란의 주모자 남두병(74칙), 그리고 무정이 직접 만나본 승려 시인(94칙)과 기녀 시인(96칙~98칙) 등이다. 이 모두가 조선 말기 시단에서 크고 작은 활약을 한 시인들로서 그들에 관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용등시화』를 다시금 신뢰할 만한 문헌으로 격상시키는 전거가 된다.

     

     

    변화와 발전을 읽어냈던
    한문학의 근대에 관한 균형 잡힌 통찰


    『용등시화』 제90칙에서 저자는 조선 시풍의 양대 조류를 조선 중기 이전과 근고(近古) 시대의 두 가지 경향으로 놓고, 앞선 시기의 경향과는 반대가 되는 경향을 ‘한시사가(漢詩四家, 이덕무ㆍ박제가ㆍ유득공ㆍ이서구)’와 신위가 대표한다고 보았다. 저자는 “중엽 이전에는 오로지 당시(唐詩)를 일삼았으나 건릉(健陵, 정조) 이후로는 사가가 오로지 송시(宋詩)를 일삼아서 시체(詩體)가 일변하였다”라는 단언을 전하면서 사가를 조선 후기 시풍 변화의 중추적 핵심으로 인정하였다.

    또한 19세기를 사가가 일으킨 변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단계로 이해하여, 전반기에는 신위가 후반기 고종 대에는 강위나 이건창이 뒤 시기 경향을 계승하여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켰다고 해석하였다. 즉, 18세기 후반의 사가, 19세기 전반의 신위, 19세기 후반의 강위와 이건창이란 시단의 거장들을 중심으로 한시사의 변화를 포착하고, 나아가 그 변화를 발전의 시각으로 읽어낸 것이다. 특히 저자는 정조 시대를 근대 한시의 기점으로 보고, 근대 한시의 방향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을 강하게 드러내었다. 이 구도는 탁월한 견해일 뿐만 아니라 18세기 이후 시단의 거시적 조류를 명료하고 간명하게 정리한 결과였다. 시사를 파악하는 이와 같은 선명한 구도는 저자의 참신한 견해이면서 동시에 그가 속한 시대 및 시사 동인과 공유하는 시각이었다.

    『용등시화』를 통해 달성된 이와 같은 그의 통찰은 20세기 이후 독자적 견해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김태준을 비롯한 일제강점기 문학사가 대부분이 문학의 전개과정을 일종의 생명체와 같이 이해하고 18세기 이후 쇠퇴기에 접어들어 조선 말기 이후 그 명맥이 끊어지는 과정으로 이해한 것과는 그 관점과 평가가 크게 다르다.

    이렇게 근대 한시단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관심을 토대로 세운 저자의 문학사적 구도는 이후 그의 「조선시문변천」과 「조선근대문장가약서」라는 학술논문으로 발전한다. 경성제대 강의안이었던 두 논문은 영조ㆍ정조 시대 문학을 근대의 출발로 삼아 이후의 시문과 문장가의 맥락을 잡고 있다. 근대적 학술논문으로서 두 편의 글은 정조 이후 조선 말기의 한문학사를 바라보는 시각에 큰 영향을 끼쳤다.

    논문에서는 학계의 상식과 다르게 고종 시대 문장가로 이응진과 이상수, 이근수를 포함하고, 경술(經術)을 담은 문장을 특별히 중시하며, 강위ㆍ김택영ㆍ이건창ㆍ황현ㆍ이남규 등 남사 구성원을 대거 포함했다. 이는 『용등시화』가 저자의 문학사 구도의 설정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 말해준다. 즉, 『용등시화』는 18세기와 19세기 한문학사와 한시사의 구도를 균형 있는 시각으로 파악한 첫 번째 저술로서, 문학의 근대를 조망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제공한다.

     

     

    문재 빛나던 젊은 문사는
    한학계 태두를 거쳐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남았지만


    이 책을 현대어로 옮기고 해제 작업을 마친 안대회 교수는 『용등시화』를 평가할 때 걸림돌은 바로 저자 정만조 자신이라 말한다.

    관료로서 크고 작은 직책을 맡았던 정만조는 개화파로서 주요한 중앙의 직책을 두루 거쳤고, 1895년 갑오개혁 때는 김홍집 내각에서 중용되기도 했다. 아관파천 이후 1896년 4월 을미사변에 연루된 혐의로 15년형을 받아 전라도 진도에 유배되었지만, 유배생활을 하는 11년 동안 진도와 목포 등지에서 창작과 교육 활동을 하다가 1907년 11월 고종이 억지로 퇴위한 뒤에 사면되었다.

    이후 그는 문화와 학술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친일행적을 이어갔다. 대동학회를 비롯한 대한협회와 기호흥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고, 일제강점기로 접어들어서는 조선총독부 참사관실 위원 촉탁으로 조선도서의 해제사업을 맡았다. 1913년 이래 조선총독부 직속기구인 경학원의 운영과 활동을 주관하여 『경학원잡지』를 주도적으로 편찬하였고, 경학원 부제학과 대제학을 지냈다. 1922년 이후 조선사편찬위원회 위원, 1925년 이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강사, 1927년 4월 조선사편수회 위원, 1930년 명륜학원 총재 등을 역임하면서 유학과 전통학술계 분야에서 가장 높은 지위를 누렸다. 또한 한학과 한시 분야의 대가로 인정받아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비롯한 일제강점기 언론계에서도 두루 활동하였다. 즉, 그의 삶은 대한제국 몰락기를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가 뚜렷하게 갈리고, 생애 후반기의 학술과 문예활동은 법률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될 만큼 전형적인 친일 지식인의 행적을 따른다.

    『용등시화』는 그의 생애 전반기 마지막 단계에서 쓰인 저술로, 어찌 보면 이 작품은 한 문사의 생애의 빛깔을 나누는 상징적인 징표와도 같다. 시화를 쓴 이후 친일행각을 노골화함으로써 매도와 질타의 대상이 되어간 저자 탓에 시화를 널리 읽히고 제대로 평가하기가 망설여진다고 번역자 안대회 교수는 고백한다. 그러나 저자의 친일행적은 그것대로 평가하여야 하지만, 시화와 그에 실린 내용을 친일행적의 기준으로만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인다. 조선 말기 시단과 지성계, 정치계를 깊이 이해하도록 안내하는 탁월한 저술로서 『용등시화』 그 자체를 직시하자는 것이 학자로서 그의 판단이다.     

     


           책 속에서

     


    육경(六經)에 뿌리를 두지 않거나 또 만 권의 책을 독파하지 않으면 시를 지극히 잘 쓰는 경지까지 도달할 수 없다. 자하(紫霞) 신위(申緯)의 전집(全集)을 살펴보니 전고를 사용한 수준이 대지가 만물을 등에 지고, 바다가 온 강물을 받아들이는 광대한 경지라 이를 만했다.
    ―본문 87쪽, ‘신위의 높은 학문과 시’ 중에서

     

    사람들이 우상(虞裳) 이언진(李??)과 감산(甘山) 이황중(李黃中)의 시를 귀신의 말이라고 한다. 두 시인이 기괴한 시어를 즐겨 썼기 때문에 귀신의 말로 지목한 것이다.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은 새벽길을 가며 지은 현포(玄圃) 윤치(尹治)의 시를 거론하고 귀신의 말이라 평한 적이 있다.
    ―본문 217쪽, ‘귀신의 시’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시를 잘 짓는 여성이 극히 드물다. 사대부 집안에서는 규방 범절이 엄격하고 똑발라서 시사(詩詞)를 절대 배우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옛날의 사임당 신씨(思任堂申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어머니)와 영수각 서씨(令壽閣徐氏,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의 어머니), 오늘날의 정일당 남씨(貞一堂南氏, 나의 벗 성태영(成台永)의 어머니)는 모두 문장과 학문에 능통했으나 시를 더러 짓는다 해도 반드시 염락체(濂洛體)를 써서 재사(才思)나 정한이 조금이라도 시어에 표현되는 법이 없었다. 오로지 난설헌 허씨만이 염려(艶麗)한 시어를 제법 많이 썼다.
    ―본문 253쪽, ‘조선 여류시인의 조건’ 중에서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정만조

    鄭萬朝(1858~1936)

    고종 시대와 일제 강점기의 저명한 시인이자 관료이다. 자는 대경(大卿), 호는 무정(茂亭)으로 소론 명문가인 동래(東萊) 정씨 임당공파(林塘公派) 후손이다. 개화파 관료로 활동하며, 1889년 12월 문과에 급제한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다. 1896년 을미사변에 연루되어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1907년에 사면되었다. 이후 문화와 학술 분야에서 크게 활동하여 경성제대 법문학부 강사, 조선사편수회 위원, 경학원 대제학 등을 지내며 한학계의 태두로 군림하였다. 그런 행적으로 그는 법률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1906년 어름 유배지에서 고종 시대 시단을 증언한 『용등시화(榕燈詩話)』 1권을 저술하였다. 문집에 『자각산관초고(紫閣山館初稿)』와 『무정존고(茂亭存稿)』 등이 남아 있고, 그밖에도 많은 논문과 저작이 흩어져 있다.

    안대회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인문학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5년 제34회 두계학술상, 2016년 제16회 지훈국학상을 수상했다. 폭넓은 사유로 옛글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유려하면서 담백한 필치로 선인들의 삶을 차근히 소개해왔다.

    저서에는 『조선후기시화사』,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선비답게 산다는 것』, 『벽광나치오』, 『궁극의 시학』, 『담바고 문화사』, 『내 생애 첫 번째 시』, 『조선의 명문장가들』 등 다수가 있고, 번역서에는 『해동화식전』, 『완역정본 택리지』(공역), 『북학의』, 『산수간에 집을 짓고』, 『소화시평』, 『시평보유』, 『한국 산문선』 7ㆍ8ㆍ9(공역) 등이 있다.

    김보성

    金甫省

    이화여자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이규경의 『시가점등』을 분석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이다. 한ㆍ중ㆍ일 시화 및 문학비평의 동향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자저실기』, 『주영편』, 『국역 통감절요증손교주』 등의 번역에 공역자로 참여했고, ‘동아시아 근대와 여행총서’의 일환으로 조소앙의 『동유약초』를 번역 중이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서설
     
    <용등시화
    >

    이항복의 동몽시|인구에 회자되는 이달과 이희지의 시|조선시대 송시풍의 변곡점|성정을 닮은 시|시의 기상|시의 미래 예측|시창작과 운명|이우신의 향염체|고문가의 시창작|봄버들 시회|누정시 명작|초년의 작품|이건승의 시재|추사의 위작|사물을 읊은 시|조병만의 민첩한 시재|백화수 시의 표절|하자의 용법|평측의 잘못된 사용|성명이 들어간 시구|이학원의 등단|여항시인 이현식|고시의 성률|신위의 높은 학문과 시|여규형의 등단과 시재|이남규의 민첩한 시재|사가시선과 작품의 운수|정찬조의 시명|정헌시의 시정|절묘한 대구|금강산을 읊은 시|무명 과객의 희작|붓 장수의 시|강경 객주의 시재|영덕 아전의 시재|자식 낳고 지은 시의 비교|오해를 산 이건창의 시|의원의 심기를 건드린 황현의 시|이상적과 강위의 풍자시|관직을 얻게 한 시들|궁핍은 시인의 운명|불가피한 어용 시의 창작|꽃 이름 집구시와 오아회의 박학함|빈궁한 시인 윤영식|시인의 성정과 창작|경서 어구를 쓴 시|성어를 사용한 시구|부귀한 사람의 슬프고 괴로운 시어|강위 시의 뛰어남|상중의 시 창작|정밀한 대우 맞춤|간지로 짝을 맞춘 시구|첩자의 금기|기둥에 쓴 시구들|이양연의 격조|남주원의 시풍|황현 시의 변모|이중하와 이건창의 절창|이중하의 순정한 문장|하동의 시인 성혜영과 김창순|강위의 용모와 일화|윤성진과 조창영의 시재|서상우의 시|이상황의 시풍|시의 내력과 작자 시의 속어|박제가와 신위의 시경|불우한 호걸 시인 이근수|강경문의 처량한 시어|남행 조철림의 배해체|이교영의 남사당패 시|이상학의 신연시 희작|신위의 소악부|꿈속에서 지은 시|영해민란 주모자의 시|조면호의 매화시|송언회의 전별시|김택영의 평양 명작|동몽시 명작|회인시의 주석|순창의 시인 설규석|귀신의 시|심홍택의 아들 떠돌이 시인|윤자덕의 문장과 이건창의 평가|정현오의 실의와 득의|초강 김상우 부자의 시재|혼례날의 시짓기|이상수 이건초 부자의 시|강위 시의 풍신|지체가 낮은 재사 친구들|조선 한시의 두 가지 경향|김홍집의 작품|공령가 신좌모와 정현덕의 시|유길준의 천재성|내가 만난 시승|시승 보연의 시상|조선 여류시인의 조건|기녀 금앵과 구향의 시|광주 기생 향심의 인연|향염시 명가
     
    원문
    찾아보기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