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상도서

형설기문-한밤에 깨어 옛일을 쓰다

  • 출판부도서
  • 인문
    • 기획도서
    • 시화총서
  • 이극성 지음
  • 장유승, 부유섭, 백승호역자
출간일 2016-11-30
ISBN 979-11-5550-196-2 93810
면수/판형 변형판 148x220·544쪽
가격 30,000원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한밤에 깨어 적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흥미로운 옛이야기

    이극성의 형설기문


    정치적 박해로 정국에서 배제되어
    조선 후기 문화사에 공백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근기 남인계 지식인들의 육성과 행적을 추억하다


    이 책은 1773년경 근기 남인의 핵심 가문 출신 지식인이었던 이극성이 조선시대 문인들의 일화와 시화를 엮어 펴낸 『형설기문』을 세 명의 젊은 고전문학자가 함께 현대어로 옮기고 주해와 서설을 단 책이다. 이극성은 『지봉유설』을 쓴 이수광의 6대손이자 『성호사설』을 쓴 이익의 사위로, 책은 그 자신이 속했던 근기 남인 계열의 문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담고 있다.
    사실 남인은 17세기 이후 정국에서 배제되어 소수집단으로 전락하고, 신유박해 이후엔 계속된 정치적 탄압으로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때문에 조선 후기 문화사에서 이들이 차지하던 비중을 부정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문집은 전하지 않는 것이 많고, 그나마 전하는 것도 소략한 필사본이 대부분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에 초역되는 『형설기문』의 가치는 더욱 의미가 있다.
    책 속에는 조선 후기 실학파 문인들을 대거 배출한 지봉가와 성호가 문인들을 비롯해, 근기 남인계 문인들에 대한 수많은 기록과 당대의 문화적 지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흥미로운 전거들이 함께 수록돼 있다. 균형 잡힌 시각에서 조선 후기 문화사를 다시 바라보게 만드는 귀중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


     

    형설기문 홍보 이미지(A형).jpg

     


     

    부지런한 공부 가운데
    선현의 옛일을 기록해두다


    『형설기문』은 익히 알려진 고사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에서 그 제목을 따왔다. 말 그대로 저자는 스스로 부지런히 공부하던 과정에서 견문하게 된 여러 문인들의 작품들과 그들의 삶에 얽힌 흥미롭고 교훈적인 일화들을 한데 엮어 한 권의 시화잡록(詩話雜錄)으로 펴낸 것이다.
    무엇보다 이극성은 선조들의 저술을 정리하는 작업에 온힘을 기울인 인물이다. 1762년 5대조 이성구의 『분사집(分沙集)』을 편찬하고 장인이던 이익과 목만중에게 서문을 받았고, 조부 이한종의 『회헌잡저(悔軒雜著)』, 숙부 이영주의 『탄은고(誕隱稿)』를 정리하여 이익에게 서문을 받았으며, 부친 이계주의 『온재서법(溫齋書法)』을 간행하고 정범조에게 서문을 받기도 했다. 갖은 사화와 박해로 이수광에서 저자로 이어지는 지봉가 문인들의 저작은 일실된 것이 많았기 때문에, 이렇게 가학적 전통을 계승함으로써 선조들의 저술을 복원해내고, 나아가 국가의 전고(典故, 전거로 삼을 만한 옛일)에 관한 기록을 정리한 이극성의 노력은 후일 조선 후기 문화사를 복원하는 데 남다른 함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남인계 문단에 대한 살아있는 스케치


    『형설기문』은 장르상 시화(詩話) 갈래에 속한다(시화란 한문학에서 시나 시인 혹은 시파[詩派] 등에 대한 평론이나 시인들의 창작과 관련된 고사, 특이한 행적 등을 기록한 글들을 일컫는다). 『형설기문』의 기사 가운데 본격적인 한시 비평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사는 약 50여 화이다. 여기에 산문 비평에 해당하는 기사까지 합하면 전체의 1/4 정도가 문학 비평에 해당하는 기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학 비평 기사는 남인 문인들과 관련된 것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어, 다른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는 남인 문단의 실상을 생생하게 전해준다.
    『형설기문』에는 남인 문인으로서 높은 문학사적 위상을 점하는 허목(許穆)ㆍ이민구(李敏求)ㆍ채팽윤(蔡彭胤)ㆍ신유한(申維翰)ㆍ이서우(李瑞雨)ㆍ오상렴(吳尙濂)ㆍ이덕주(李德?)ㆍ강박(姜樸)ㆍ이용휴(李用休)ㆍ오광운(吳光運)ㆍ이헌경(李獻慶)ㆍ목만중(睦萬中) 등이 등장하며, 이밖에 좀처럼 알려지지 않은 남인 문인들에 대한 정보도 담고 있다.



    『형설기문』, 글쓰기의 당파성


    『형설기문』에서 다뤄진 문인들의 상당수가 당대에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려 있던 남인계 지식인들이었기 때문에, 저자 자신도 옛 문인들의 행적과 그 문학적 성취를 순순히 회고하는 데 머무르지 않았다. 또한 역사적 사건들에 대해서는 물론이거니와 일상의 차원에서도 당파적 태도로 기술된 기사들이 자주 목격된다.
    그렇지만 사실상 조선 후기에 편찬된 문헌들은 대부분 당색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문학비평에 가까운 시화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저자의 당색에 따라 거론하는 문인이 상이하고, 평가도 달라졌다. 당파에 따라 학맥과 혼맥이 형성되는 당시의 상황에서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남인계 문인이 문학사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 역시 이 때문이다. 현전하는 시화의 상당수가 노론 및 소론 계열의 문인에 의해 편찬된 것이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 편찬된 거질의 야담총서에도 남인계 문인의 시화는 드문 편이었다.
    이렇게 시화잡록에 당파적 입장이 개입됐던 게 보편적이었다고 이를 수 있기에, 『형설기문』의 상황 또한 여기서 멀지 않다. 즉, 『형설기문』에서도 남인계와 소론계 인물에 관한 일화는 대체로 우호적인 입장에서 서술되고 있으되, 남인에 속하는 김덕원과 소론에 속하는 윤지완의 당색을 초월한 친교는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반면 노론계 인물들에 대한 시각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특히 채팽윤(남인)과 김창흡(노론)이 서로의 시를 평가한 일화에서 이러한 시선을 엿볼 수 있다. 『형설기문』에 수록된 김창흡의 시는 미적으로 뛰어나다기보다는 희작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작품들이다. 당대 김창흡의 시명(詩名)이 결코 채팽윤보다 못했다고 볼 수 없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당파적 시선에 입각한 공정하지 못한 태도라 여겨진다. 이밖에도 노론계 인물에 관한 일화 역시 표면적으로는 덕행과 문장을 높이 평가한 듯하지만, 면밀히 검토해보면 그 기저에는 당론에 입각한 부정적 인식이 숨어 있다.
    『형설기문』의 기사는 이처럼 당파적 관점에 입각해 서술된 것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 때문에 오히려 다른 문헌에서 발견할 수 없는 남인 문인들에 대한 기록이 다수 발견된다는 점은 이 자료가 각별한 문학적 위상을 확보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형설기문』이 증언하는 조선 후기 문화사


    1. 국조전고와 조선의 명필들
    『형설기문』에는 국조전고(國朝典故) 성격의 기사가 다수 실려 있다. 예컨대 500여 명이 넘는 역대 문인들의 호를 열거한 기사, 대를 이어 문과에 급제한 30여 가문의 사례와 해당 인물들을 일일이 거론한 기사, 국왕의 자손으로서 현달한 인물들을 열거한 기사 등은 상당한 분량을 차지한다. 이밖에도 대대로 정승을 역임한 동래 정씨 및 달성 서씨, 청풍 김씨의 인물들에 대한 기사, 그리고 오리 이원익 가문과 김효건 가문의 장수한 인물들을 열거하는 기사 등은 모두 후대에 남길 만한 전고의 일종으로 간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색당파의 분당 원인에 대한 『해동잡기』와 『택리지』의 기록을 인용한 부분 역시 같은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형설기문』에서는 서예로 이름난 인물들의 일화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데, 이는 이극성의 부친 이계주의 영향이었다. 이계주는 평생 서예에 몰두했으며, 이극성도 서예에 남다른 조예가 있었다. 이극성은 무엇보다 한호의 필법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서의 필법은 한호의 필법을 터득한 이지정으로부터 전수받은 것이며, 오준 역시 한호의 고제라 일컫고 있다. 그러나 이서가 한호의 글씨를 보고 ‘상놈의 글씨[常漢筆]’라고 혹평하였다는 일화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 한호의 필법은 사대부들 사이에서 그다지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던 듯하다. 그러나 이극성은 한호의 필법에 대한 이서의 혹평이 너무 지나친 말이라 하며, 한호의 필법을 가장 높이 평가했다. 이익 역시 『성호사설』에서도 비슷한 의견을 개진했었다.


    2. 역사가의 시선으로 포착한 다양한 인물 군상들
    이극성은 당대 미천한 신분이나 처지에 놓여 있었지만 뛰어난 덕행이나 재능을 가진 인물들―기생ㆍ종(노비)ㆍ맹인ㆍ수졸ㆍ서자 등―의 일화나 여성이나 천류(賤流)의 작품으로 알려진 시문들을 수록하는가 하면, 술수(術數)에 뛰어난 인물들의 신이한 행적을 기록한 기사들도 실었다. 또한 직접 부석사에 가서 의상대사의 지팡이에서 피어났다는 꽃나무를 보고, 이를 소재로 지은 퇴계의 시를 인용했으며, 자신의 선조인 이동규와 이종사촌간인 김시진이 민암의 관상을 보고 그 사람됨을 꿰뚫어보았다는 일화를 수록하기도 했다.
    『형설기문』의 내용이 대부분 철저한 사실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일화는 이질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의 일화를 수록한 의도 역시 역사가로서 알 수 없는 사건의 진위를 섣불리 단정하지 않고 견문한 대로 기록하여 후대에 전하려는 ‘존의(存疑)’의 의도에서 비롯됐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이처럼 이극성이 『형설기문』에서 신분적으로 미천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의 윤리적 면모와 잠재된 능력을 발견하고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던 것은, 정사(正史)를 보충하는 야사(野史)로서의 역할을 기대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그는 고매한 도학자로부터 기인(奇人)과 천인(賤人)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간 군상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당대에 대한 가감 없는 기록을 남긴 셈이다.


    3. 당대 풍속의 기록
    이극성의 국어에 대한 남다른 관심 역시 당대 문화사의 기록이라는 관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형설기문』에는 국어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로 알려진 이익의 「백언해(百諺解)」가 그대로 전재되어 있는데, 이는 이극성과 이익의 학문적 연계를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이자 당대 풍속의 기록이라는 관점에서 주목된다. 이밖에 음운(音韻) 및 방언(方言)을 소재로 삼은 해학적 성격의 일화도 적지 않아 국어학적으로 참고할 만하다.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수량 명사 백 수십 개를 기록한 기사도 가치 있는 자료이다.

    이처럼 『형설기문』의 내용은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어 이극성의 지적 관심사의 폭이 매우 넓었음을 보여준다. 물론 기존의 시화잡록 및 타인의 저술에 수록된 내용도 실려 있지만, 이극성의 육성으로 기술한 내용이 주라는 점을 고려하면 그 가치는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정리하자면, 『형설기문』은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의 박물학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그 관심사를 예각화하여 자국의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당대 문화사를 여러 각도에서 조명한 저술인 것이다.


     

    \ 책 속에서


     

     

     ㆍ 백곡(栢谷) 김득신(金得臣, 1604~1684)은 어렸을 때 자질이 몹시 노둔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성품이 엄격하여 매우 부지런히 가르쳤는데, 조금이라도 독서를 게을리 하면 피가 나도록 회초리를 쳐서 마침내 학업을 이루었다. 그 뒤 과거에 급제하여 어떤 고을의 원님이 되었는데, 임소로 가다가 도중에 가시나무를 보더니 말에서 내려 두 번 절하였다. 따르던 하인들이 모두 괴이하게 여기자 백곡이 말했다.
       “내가 오늘 높은 일산을 펼치고 살진 말을 타며 앞에서는 길을 비키게 하고 뒤에서는 옹위하게 된 것은 모두 평소 독서한 공이다. 나를 부지런히 독서하게 만든 것은 모두 이 나무의 힘이다. 나는 이 때문에 절하는 것이다.”
    ―본문 45쪽, ‘김득신의 독서’ 중에서


    ㆍ 판서 윤강(尹絳)이 만년에 안산(安山)에 물러나 살았는데, 그의 종이 어민과 고기 잡는 권리를 다투었다. 판서가 종을 불러 매질하면서 말했다.
       “네가 판서의 노비로서 백성과 이권을 다투면 백성은 어떻게 산단 말이냐?”
       이로 인해 백성이 모두 안도하였다. 아, 재상 된 사람이 이와 같이 백성 사랑하는 마음을 지닌다면 사람들이 반드시 대거 구제되는 일이 있을 것이다.
    ―본문 45쪽, ‘윤강의 백성 사랑’ 중에서


    ㆍ 여헌(旅軒) 장선생(張先生, 장현광)이 인동(仁同)에서 상경하자, 참판 유명견(柳命堅)이 젊었을 때 가서 뵙고 말했다. “저 같은 사람도 학문을 할 수 있습니까?”
       선생이 말했다. “자네 팔뚝을 한번 보세.”
       참판이 말했다. “학문을 팔뚝으로 합니까?”
       선생이 말했다. “학문 공부는 근력이 튼튼해야 할 수 있네. 그러므로 자네 팔뚝을 보려 한 것이니, 자네 근력이 튼튼한지 시험하고자 한 까닭일세.”
    ―본문 275쪽, ‘공부는 팔뚝으로 한다’ 중에서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이극성

    李克成, 1721~1779

    ?

    초명(初名)은 존성(存誠), 자는 유일(幼一) 또는 덕중(德仲), 호는 고재(睾齋)이다. 지봉 이수광(李?光)의 6대손이며, 성호 이익(李瀷)의 사위이다. 조선 후기 근기 남인의 핵심 가문 출신으로, 1741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옥과현감, 익위사 위솔 등을 역임했다. 12조목의 상소를 올려 영조에게 경륜지사(經綸之士)라는 칭찬을 받았으며, 가학(家學) 전통을 계승하여 선조들의 저술 및 국가의 전고(典故)에 관한 기록을 정리했다. 저서로 『사과록』, 『경원록』, 『오절순난록』, 『명사총강』 등이 있다. 그의 글과 기록들은 17세기 이후 정국에서 배제돼 소수집단으로 전락한 남인계 문인들의 문화적 지형을 파악하는 데 더없이 귀중한 자료가 된다.

     

    장유승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 『일일공부』, 번역서로 『현고기』, 『동국세시기』 등이 있다.

     

    부유섭

    제주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 「17~18세기 중반 근기 남인 문단 연구」, 번역서로 『소문사설-조선의 실용지식 연구노트』(공역) 등이 있다.

     

     

     

     

    백승호

    白丞鎬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 「번암 채제공 문학 연구」, 「정조시대 정치적 글쓰기 연구」, 「정조의 비밀어찰」(공저), 번역서로 『정조어찰첩』(공역) 등이 있다.

    ?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서설


    <상권>
    64괘를 만든 사람|강박의 시|한호의 글씨 연습|바보 흉내를 낸 김일손|정구와 이황의 만남|이항복과 남구만의 시|동래정씨 정승|김득신의 독서|정백창의 교만|허목의 문장 1|임도삼의 시 1|임도삼의 시 2|남이웅의 담력|배인범의 도량|조경의 문장|오광운의 시|민종도의 재치|최립의 문장 공부법|한덕사의 문장|정태화의 안목|이덕형의 시|이준경의 지혜|김집의 신독|오색대간|정세규의 과문|이항복의 청렴|김득신과 박장원의 우정|이진기의 과시|신경진의 시구|권대재의 몸가짐|벼슬 구하는 글|우리나라의 명필|정재륜의 처신|이계의 시|이재춘의 글씨|남구만의 파자문|목씨 무인의 불통|함흥 명기 가련|서예가의 글씨 공부|윤순의 서예평|이명은의 글씨 연습|목낙선의 의리|윤지인의 청렴|채팽윤과 무명 시인|오상렴의 시|노비 애남|유일심의 공부|이몽리의 몸가짐|관상 1|관상 2|관상 3|오명수의 시|최수량의 시|윤순의 시|허목의 문장 2|이관징과 목래선의 약속|채팽윤의 시 1|김창협의 시|전처가 후처를 제사하다|허목의 문장 3|김숙만의 농담|한덕필의 지혜|김태로의 선행|김의신의 글씨|이지정의 필법|과법과 파법의 어려움|장현광의 아량|김시진의 안목|김득신의 대구|이항복과 귀신|덕을 쌓은 윤효정|황상청의 점술|채팽윤의 시 2|이름으로 만든 대우|노비를 속인 주인|솔방울과 버들강아지|천황씨 아버지의 이름|걸주계|이서우의 시 1|이서우와 채팽윤의 시|법을 지킨 수졸|김효건 가문의 장수|이태화의 시력|무과 합격자|사색당파의 유래|조현명과 조하망의 주량|박세당과 박태보의 고집|김창흡의 시 1|김창흡의 시 2|이헌경과 목만중의 시|정충신의 총명|권대운의 청렴|정원대사의 시|윤정화의 기억력|이광덕과 조현명의 시|조현명의 시|임제의 시 1|이용휴의 문장|이용휴의 시|홍봉한과 채제공의 시|강연의 임진왜란 회고|강직한 강석빈|백곡대사의 시

    ?

    <하권>
    강형의 묘자리|의상대사의 지팡이|한호의 글씨|정인홍의 문장|신최의 부인 심씨의 문장|윤광보의 시|순(舜)에 대해 묻다|허적의 용력|김완의 용력|팔비헌|태조의 후손|태종의 후손|세종의 후손|성종의 후손|김시양의 기억력|형제 등과|대대로 등과한 집안|태조의 후손|태종의 후손|세종의 후손|중종의 후손|선조의 후손|유희춘의 부인 백씨의 시|정윤목의 글씨|김현성의 글씨|이익년의 기억력|단위명사|염시도의 청렴|우리나라 사람들의 별호|지봉가 인물들의 호|이정우의 시|남식의 가법|최씨 부인의 법도|윤강의 백성 사랑|채팽윤의 시 3|유도삼의 시|김창흡의 시 3|김창흡과 무명 시인|권칙의 시|임제의 시 2| 기생 노이 이야기|김창흡의 시 4|공부는 팔뚝으로 한다|아들 열한 명의 이름|김덕원을 곡한 윤지완|목천임의 시|허목의 공부|황상청의 점술|권이진의 지혜|이좌훈의 시|여종이 지은 시|노승의 시|가장 쓰기 어려운 글|이한척의 시|여종이 지은 시|권부와 이만유의 차이|문벌을 숭상하는 폐단|신유한의 시|술상 내는 법|홍만조와 서문중|윤기경의 다스림|이옥의 가법|윤유기의 바둑|이관징의 글씨 연습|구선행의 판결법|백언해|이만유와 채팽윤의 호칭|이진기와 박필성의 나이|효자 범서|우리나라의 소설|홍만조의 정사|채팽윤의 시 4|김치의 선견지명|유람을 택한 노수신|한유후의 절개|서인의 뜻|허목의 시|이서우와 오상렴의 시|허종의 키|석양정의 그림 비결|불문마(不問馬)|홍이상의 후손|홍이상의 성균관 개혁|이광보의 의리|홍봉한의 꾀|한준겸의 사위들|조식과 윤원형|농부가 된 목조수|황준과 부인 남씨|이익년의 시력|이춘제와 이석의 공부법|서명균의 글씨|환관과 소경|권민의 기억력|조명국의 공부법|오광운, 이인복, 권부, 이유의 공부법|오수응의 선행|이서우의 시 2|윤동도와 서지수|권흠의 주량|배정휘의 공부법|지관 왕룡|반절을 하는 이유|김득신의 데김|최립이 지은 소지|파자(破字)|홍여하의 기억력|김창흡과 능참봉|김창협과 고성 기생|가장 쓰기 어려운 글자|정백창과 정충신|김가교의 몸가짐|현명한 이익한 부인|강홍중과 곽희태|목대흠의 기억력|회현동 정씨의 가법|오명준의 형제들|문장만 숭상하는 풍조|내 친척과 내 노비|최생이 예를 알다

    ?

    <원문>
    형설기문 상권|형설기문 하권


    찾아보기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