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실학번역총서 09)

  • 사람의무늬
  • 인문
    • 기획도서
    •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
  • 성해응 지음
  • 손혜리, 이성민역자
출간일 2015-10-20
ISBN 979-11-5550-133-7 94150
면수/판형 신국판(152 X 225)·472쪽
가격 28,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실학자의 휴머니즘


    이 책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문인인 연경재(硏經齋) 성해응(成海應, 1760~1839)이 통일신라 말엽으로부터 18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순절(殉節)ㆍ순난(殉難)ㆍ충의(忠義)ㆍ병의(秉義) 등의 사적을 남긴 139인의 자취를 취재하여 기록하고 논평한 ‘인물 열전’인 『초사담헌(草?談獻)』을 현대어 옮기고. 주해를 단 것이다.


    수록된 인물의 면면이 무명의 군졸, 무인, 은자, 기녀, 노비, 궁녀 그리고 광대와 백정의 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하층 신분의 인물이 다수를 차지하여, 훌륭한 덕과 비범한 재능을 지녔지만 그에 걸맞은 평가나 대우를 받지 못하고 인멸될 처지에 놓인 이들이 적극적으로 채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성해응은 중세 사회에서 가장 미천한 신분으로 평가받는 기녀와 광대, 백정 등을 한 인간으로 동등하게 존중하고 대우했으며, 나아가 창기제도를 비판하고 그의 폐지까지 주장하기도 했다. 이른바 조선 후기 한 실학자의 인간에 대한 애정과 개혁적 의식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는 흥미로운 이야기 모음집이 아닐 수 없다.

     


    진실로 살아 있는 인물, 인물들

     

    ㆍ 캐스팅된 캐릭터―시대의 비주류


    이 책에 수록된 인물은 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활약한 의병과 의병장을 비롯하여 이인좌(李麟佐)의 난과 신임(申壬)옥사 등 국가적 변란에 지절을 지킨 인물 및 기녀, 노비, 무당, 궁녀, 향리, 백정, 어부, 은자(隱者), 처사(處士), 신선, 화가, 악사, 승려, 품팔이꾼, 점술가 등 실로 다채롭다. 국적별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 일본, 남만(南蠻) 등의 인물이 수록되어 그야말로 조선 후기 다양한 인물전을 표방한다. 책의 제목을 풀어보면, ‘초사(草?)’는 초야(草野)에 있는 누대이고, ‘담헌(談獻)’은 ‘현자(賢者)를 이야기하다’는 뜻인데, 이렇듯 시대의 주류에서 벗어난 인물 군상들을 현자로 지칭한다는 것 자체가 흥미롭다.


    ㆍ 초야의 기걸지사(奇傑之士)에 대한 연민과 기록


    성해응은 “초야에는 예부터 우뚝 뛰어난 선비가 많다(草野故多奇傑之士)”고 하여 훌륭한 덕과 비범한 재능을 지니고 있지만 초야에 은거하여 사적이 인멸될 처지에 놓인 이들을 적극적으로 취재하였다. 이에 노비나 한미한 가문 출신의 무인, 군대의 하급 관리들처럼 이른바 기걸지사(奇傑之士)의 훌륭한 사적들이 적극적으로 소환된다. 이들의 행적은 공과를 다투는 상대의 시기와 무고ㆍ은폐 혹은 궁벽한 지역인 탓에 문헌 자체가 전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쉽게 사라져버릴(린) 운명의 것들이었다. 성해응은 다양한 사례를 들며 이를 구체적으로 소개해 나간다.


    ㆍ 여성 인물의 다양한 취재와 문학적 형상


    또한 『초사담헌』에는 여성 인물이 많이 등장하며 그 비중 또한 크다. 사대부가 여성으로부터 민가(民家)의 여성, 기녀, 궁녀, 노비, 아전과 백정의 딸, 광대의 아내 등 다양한 인물이 기록되어 있다.
    무엇보다 특기할 만한 지점으로 관기제도의 폐지를 주장한 대목을 들 수 있다. 세종 때 관기제도를 폐지하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좌의정이던 허조가 반대하여 그 제도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었다. 성해응은 이에 대해 금수와 같은 행동으로 사람을 인도한 것이라며 관기제도뿐만 아니라 그의 폐지를 반대한 허조까지 싸잡아 강경한 어조로 비판한다. 특히 사회적으로 가장 소외되고 천시 받는 기녀라 할지라도 하늘이 부여한 품성은 귀천에 상관없이 똑같다는 말을 통해 한 인간으로서 기녀의 존엄성을 당당히 인정하였다.


    ㆍ 입전(入傳) 인물의 확장을 통한 실학자의 세계 인식


    『초사담헌』에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 일본, 네덜란드, 달단(??)족에 대한 사적까지 두루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입전 인물의 확장은 성해응의 시야가 일국적 범위를 넘어 동아시아와 네덜란드(유럽)까지 아우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한 실학자의 세계적 시각과 인식, 아울러 그의 개명적 사고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다. 




    ■  책 속에서

     

     우리나라 풍속에서 관기를 둔 것은 고려 때부터 이미 그러하였다. 그러나 금수와 같은 행동으로 사람을 인도한 것이니 이것은 무슨 이치인가. 세종 때 관기를 없애려고 했지만 허조(許稠)에 의해 저지당했으니, 그가 대도(大道)를 알지 못했음이 안타깝다. 그렇기는 하지만 기생으로서 열행(烈行)을 행한 경우가 많으니, 하늘이 부여한 품성은 귀천에 상관없이 똑같다.
    |본문 165~166쪽, ‘김섬(金蟾) / 애향(愛香) / 논개(論介) / 금옥(今玉) / 용강(龍岡) 기생’ 중에서 ■


     서양인은 기술이 많고 역법과 의술에 가장 뛰어났는데, 솜씨 좋은 장인과 훌륭한 대장장이들은 거의 바다에 빠져 죽었다. 다만 역법을 아는 자 1명과 권법(拳法)을 아는 자 1명, 조총을 잘 쏘는 자 1명과 큰 돌쇠뇌를 잘 쓰는 자 10여 명이 남아 있다가 후에 대부분 일본으로 도망갔다. ……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막혀 도적은 적지만, 동해와 남해가에는 늘 홍모이와 아란타들이 표류하여 이르렀으니 왜구는 더 말할 것도 없다. 바다 가운데 여러 나라들은 모두 난장이가 조잘대는 듯하여 그 풍속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성질이 사납고 표독하여 쉽게 화를 내며 가지고 있는 병기가 모두 정교하니, 만일 변방에서 흉악한 짓을 한다면 어떻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인가? 해외의 풍속이 다른 나라라고 하여 선비가 공부하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신숙주의 『해중제국기』와 같은 것은 참으로 나라를 운영할 방책을 안 것이다.
    |본문 230~232쪽, ‘박연(朴淵) / 어계복(魚繼卜)’ 중에서 ■


     백정과 광대는 천한 자들로, 사람을 욕보일 때 반드시 백정과 광대를 일컫는다. 그런데 어떤 이는 위태로울 때 죽음을 결정하였고 어떤 이는 술수로 남편의 죽음을 면하게 하였으니, 이는 실로 남자도 하기 어려운 일이다. 천한 자들이 비록 스스로 천하게 처신하지만 천하게 처신하지 않는 자도 있다. 사람을 논할 때 걸핏하면 지위의 고하를 따지는 것은 어째서인가?
    |본문 343~344쪽, ‘조절부(趙節婦) / 광대의 아내[優人妻]’ 중에서 ■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성해응

    1760(영조 36)~1839(헌종 5). 자는 용여(龍汝), 본관은 창녕(昌寧), 연경재는 그의 호이다.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에 활동한 실학자이자 문인으로, 정약용(丁若鏞)과 함께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통유(通儒)로 평가받는다. 정조 때 규장각 검서관을 지냈으며 박학 고증적인 학문 성향을 지니고 있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150여 권의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을 저술하였다. 특히 초사담헌(草?談獻)을 통해 중세 사회에서 가장 천한 신분으로 평가받는 기녀와 광대, 백정 등을 한 인간으로 동등하게 존중했고, 나아가 창기제도를 비판하며 그의 폐지를 주장했다. 또한 입전(入傳) 인물을 확장하여 일국적 시야를 넘어선 세계적 시각과 인식을 견지함으로써 개혁적?실학적 사유의 틀을 마련했다.

    손혜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이성민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수석연구원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간행사: 실학번역총서를 펴내며
    해제 

     


    Ⅰ. 『초사담헌(草?談獻)』 1


    1. 최치원(崔致遠) / 신라 왕자(新羅王子)
    2. 목숙 정승(??政丞) / 왕(王)과 백(白) 두 상서(尙書)
    3. 대낭혜(大朗慧) / 지증(智證) / 혜소(慧昭)
    4. 남을진(南乙珍) / 조유(趙瑜) / 이양소(李陽昭)
    5. 이경류(李慶流) / 윤안국(尹安國) / 윤순(尹淳)
    6. 정희량(鄭希良) / 박지화(朴枝華)
    7. 남사고(南師古) / 정두(鄭斗)
    8. 권길(權吉) / 신길원(申吉元)
    9. 임환(林?) / 송제민(宋齊民)
    10. 정기룡(鄭起龍) / 홍계남(洪季男) / 고언백(高彦伯)
    11. 이복남(李福男) / 임현(任鉉) / 김경로(金敬老)
    12. 백광언(白光彦) / 이지시(李之詩) / 김덕린(金德麟)
    13. 노인(魯認) / 김영철(金永哲) / 최척(崔陟)
    14. 곽재우(郭再祐) / 제말(諸沫)
    15. 승려 휴정(休靜) / 승려 유정(惟政)
    16. 진주(晉州) 기생 / 계월향(桂月香)
    17. 유성룡(柳成龍)의 형 / 유림(柳琳)의 숙부

     


    Ⅱ. 『초사담헌(草?談獻)』 2


    1. 김섬(金蟾) / 애향(愛香) / 논개(論介) / 금옥(今玉) / 용강(龍岡) 기생
    2. 강서(姜緖) / 조충남(趙忠男)
    3. 바닷가의 어부[海上漁父] / 예천(醴泉)의 은자(隱者) / 성처사(成處士)
    4. 정지승(鄭之升) / 이지번(李之蕃)
    5. 김만수(金萬壽) / 김광협(金光鋏)
    6. 유희경(劉希慶) / 백대붕(白大鵬)
    7. 조덕건(曺德健) / 백윤구(白胤耉)
    8. 왕일녕(王一寧) / 김명붕(金溟鵬)
    9. 이성량(李成梁)의 딸 / 이성룡(李成龍)
    10. 선우협(鮮于浹) / 이재형(李載亨)
    11. 정대임(鄭大任) / 박의장(朴毅長)
    12. 권정길(權井吉) / 박의(朴義)
    13. 박진귀(朴震龜) / 마신선(馬神仙)
    14. 경운궁(慶運宮)의 궁녀 / 한보향(韓保香) / 수칙(守則) 이씨(李氏)

     


    Ⅲ. 『초사담헌(草?談獻)』 3


    1. 박승임(朴承任) / 윤영(尹鍈)
    2. 정시응(鄭時凝) / 송장군(宋將軍)
    3. 박연(朴淵) / 어계복(魚繼卜)
    4. 황공(黃功) / 강세작(康世爵)
    5. 김충선(金忠善) / 귀영가(貴盈哥)
    6. 김종립(金宗立) / 조모(趙某)
    7. 굴씨(屈氏) / 매환(梅環)
    8. 신류(申瀏) / 경하창(慶河昌)
    9. 박성석(朴星錫) / 박신원(朴新源)
    10. 성규헌(成揆憲) / 김백련(金百鍊)
    11. 이부인(李夫人) / 곽부인(郭夫人) / 임부인(任夫人)
    12. 강상열효녀(江上烈孝女) / 김은애(金銀愛)
    13. 분 파는 할멈[賣粉?] / 옥랑(玉娘) / 유씨(柳氏)의 첩(妾) / 유분(有分)
    14. 산남열부(山南烈婦) / 김시우(金時雨)
    15. 김게(金?) / 김려명(金呂鳴)
    16. 이술원(李述原) / 신명익(愼溟翊) / 전흥도(田興道)

     


    Ⅳ. 『초사담헌(草?談獻)』 4


    1. 김진희(金晉?)
    2. 이수절(李秀節) / 장숙(張?)
    3. 김성기(金聖基) / 김명국(金鳴國)
    4. 이태명(李台明) / 승려 치웅(致雄)
    5. 홍세태(洪世泰) / 이태(李泰)
    6. 가산 동자[嘉山童] / 곽씨(郭氏) 아들
    7. 전백록(全百祿) / 전일상(田日祥) / 홍우조(洪禹祚)
    8. 형선(刑仙) / 기리쇠(祁利衰)
    9. 어석광(魚錫光) / 홍건(洪楗)
    10. 취매(翠梅) / 막덕(莫德)
    11. 조절부(趙節婦) / 광대의 아내[優人妻]
    12. 금희(金姬)
    13. 조완(趙山完)
    14. 우심(牛尋) / 준수좌(?首坐)
    15. 권극중(權克中) / 이덕우(李德宇)

     


     부록


    『초사담헌(草?談獻)』 1 원문
    『초사담헌(草?談獻)』 2 원문
    『초사담헌(草?談獻)』 3 원문
    『초사담헌(草?談獻)』 4 원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