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술민란과 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

  • 출판부도서
  • 사회
    • 기획도서
    • 동아시아문명총서
  • 배항섭, 손병규 지음
출간일 2013-04-30
ISBN 978-89-7986-993-4 94150
면수/판형 신국판(152 X 225)·408쪽
가격 20,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동아시아 맥락에서 본, ‘1862년 임술민란’

    이 책은 임술민란 150주년(2012년)을 기념하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이 개최한 <19세기 동아시아의 민중운동과 조선사회>에서 발표되었던 8편의 글(배항섭, 쓰다 츠토무須田努, 송양섭, 김경란, 송찬섭, 임혜련, 권기중, 홍성화)에 중국의 태평천국 연구에 대한 최근의 동향을 살핀 글(싸오쯔리肖自力?천야링陳亞玲), 한국과 일본의 민중운동을 비교한 글(조경달), 19세기 삼정문란이 가진 의미를 재조명한 글(손병규)을 보태어 엮은 책이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 꾸준히 펴내고 있는 동아시아문명총서의 여섯 번째 책이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연구 성과의 급격한 감소를 요체로 하는 한 · 중 · 일 삼국의 19세기 민중운동사 연구의 최근 상황이 초래된 배경이나, 그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가능성들, 그리고 민중운동사를 진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등을 다루고 있다.동아시아 민중운동사 연구의 현재배항섭의 ?임술민란의 민중상에 대한 검토?는 우선 기왕의 민중운동사 연구가 근대 · 서구중심적, 발전론적 역사인식에 입각하여 민중운동의 근대 지향성을 강조하였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 민중은 저항의 주체일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는 억압하는 쪽에 가담하기도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특정한 체제나 이데올로기에 일방적으로 회수되기 어려운 존재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런 점에서 “근대 이행기” 민중의 생각과 행동은 서구가 구성해 놓은 발전론적 역사인식을 극복하고 근대중심주의를 넘어서 새로운 역사상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발전론에 입각한 근대지향의 민중상은 재고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동아시아라는 시각이 서구중심의 근대적 · 발전론적 역사인식을 근원적으로재성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근대중심적 · 서구중심적 역사인식을 돌파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동아시아적 시각, 동아시아 각국의 민중운동사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오쯔리(肖自力)?천야링(陳亞玲)이 쓴 ?최근 10년간의 태평천국사 연구?는 지난 2011년 12월 26일~28일에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되었던 <태평천국 기의(起義) 160주년 학술연토회>에서 발표된 글을 번역한 것이다. 이 글은 2002년 이후 10년 간 이루어진 중국학계의 태평천국 연구동향을 살피고, 태평천국이 진보적 의미를 가진 혁명인가, 아니면 거대한 파괴 · 퇴보의 성격을 가진 전란이고 재난인가 등을 둘러싼 논쟁을 검토한 것이다. 195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최전성기를 구가하였던 태평천국사 연구는 1990년대 이래 연구가 감소하였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새로운 진전도 이루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주제 면에서 정치사 · 군사사 등 전통적 분야가 아니라 사회사?지역사 연구가 현저하게 활발해지고 있으며, 새로운 이론과 방법의 도입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쓰다 츠토무(須田努)의 ?‘전후 역사학’에서 이야기된 민중이미지를 지양한다?는 일본의 ‘전후 역사학’ 속에서 ‘운동사’ 연구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개관하고, ‘현대 역사학’ 속의 민중사?‘운동사’ 연구가 취해야 할 연구 방향을 모색한 글이다. 그에 따르면 ‘전후 역사학’은 발전단계론을 기반으로 하여 투쟁하는 민중을 서술한 계급투쟁사→ 인민투쟁사로 이어지면서 1960년대부터 70년대에 걸쳐 많은 연구성과를 도출해내었다고 한다. 1980년대에 이르러 계급투쟁사 → 인민투쟁사라는 연구는 와해되고, 민중사?민중운동사 연구가 생겨났지만, 현재는 민중사?민중운동사 연구를 전공하는 일본사 연구자는 극히 드물어졌다고 한다. 이어 그는 자신의 최근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의 민중사 연구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생각을 제시하고 있다.특히 그는 민중이란 실체가 아니라, 개념일 뿐이라는 점에 대한 자각과, 그에 따라 민중사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주체적 입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 그리고 비교사의 필요성과 일국사를 넘어선 민중사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9세기 조선사회와 임술민란제2부에는 임술민란을 통해 조선사회의 재정이나 지방관청의 식리문제, 정국의 동향, 향리층의 동향 등을 다룬 6편의 글이 실려 있다.

     

    손병규의 ?19세기‘삼정문란’과 ‘지방재정위기’에 대한 재인식?은 19세기 지방 재정 상황을 조선왕조 재정 시스템의 속성과 그 장기적 변동 가운데서 관찰하여 위기론적 인식을 비판적으로 재고해보고자 한 글이다. 조선왕조는 전제주의적 재정이념을 현실화하기 위해 재정을 중앙집권화하는 과정을 경험해왔다.18세기에는 지역별 세목별 총액을 설정함으로써 각종 국가권력기관의 개별적이고 분산적인 재원확보활동을 제한했는데, 이것은 지방관아의 자립적 재정운영을 보장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조선후기의 재정은 중앙의 집권적 재정부분과 지방의 자율적 재정부분이 병행하여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임술민란을 야기한 것으로 이해되어 온 19세기의 삼정문란도 재정상의 위기로만 인식하기보다는 이러한 재정운영시스템과 관련하여 재인식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 글에 따르면 오히려 왕권를 중심으로 재정시스템의 일원화를 도모한 1894년의 갑오개혁이야말로 조선왕조의 이원적 재정시스템에 ‘위기’를 초래하였다고 한다.

     

    송양섭의 ?임술민란기 부세문제 인식과 삼정개혁三政改革의 방향?은 임술민란 당시에 제시된 삼정에 대한 개혁론과 삼정이정청을 통한 정부의 수습책을 통해 민란 이후 19세기 말에 이르는 부세제도 전반의 변화와 개혁의 방향에서 임술민란 당시의 논의들이 차지하는 의미를 가늠해 본 글이다. 이 글에 따르면 19세기 삼정의 문제는 국가적 사회적 안정을 저해하는 중대한 요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이를 수수방관해 오던 상황 속에서 임술민란은 이에 대한 사회적 여론수렴과 이를 토대로 한 정책의 입안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삼정의 문제를 개혁의 중심과제로 부상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이 시기에 삼정 각 부문에서 제기된 주요한 논의는 이후에도 중요한 개혁과제로 이어지면서 대내외적 상황의 변동에 따라 정책으로 시도되거나 실현되는 경로를 밟게 되었으며, 특히 임술민란을 계기로 응지삼정소와 삼정이정청에서 제기된 삼정과 관련된 주요 사안은 이후 갑오개혁에 이르는 부세제도 개혁의 방향에서 중요한 의제로 설정되었다고 하였다.

     

    김경란의 ?임술민란 전후 전라도의 군정軍政운영과 식리殖利문제?는 임술민란 당시 전라도 농민봉기의 배경으로 군정운영의 파행성이 많이 지적된다는 점을 단서로 삼아 전라도 지역의 군포계 운영과 군정 운영의 특성을 임술민란과 연결하여 파악한 글이다. 전라도 지역의 군정문제는 기본적으로 ‘군다민소軍多民少’의 발생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었는데, 특히 군포계軍布契가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었다고 한다. 고산과 영암의 군포계 운영방식을 분석한 결과, 군포납부를 위해 면面단위에서 조직된 면계面?를 중심으로 식리활동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18세기 중반 이후 액수가 고정된 중앙정부로의 군포상납액을 채워주어야 하는 지방관청의 절박함이 군포계를 통한 식리 운영의 목적이었다고 이해하였다. 요컨대 지역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고정화된 세액은 군정 문제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지방군현에서 군포계 등의 식리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파행적 군정 운영이 이루어진 것이 임술민란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고 하였다.

     

    송찬섭의 ?1862년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 구성과 삼정이정책?은 농민항쟁의 수습을 위해 설치된 삼정이정청과 삼정이정책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농민항쟁 이후 중앙정계의 동향과 중앙 권력층의 농민항쟁에 대한 대책의 흐름을 살핀 글이다. 삼정이정청이 구성되는 과정, 여기에 참여한 인물들의 성향과 활동에 대해 관련 자료를 망라하여 새롭게 접근하였고, 구체적인 활동과 이정절목이 마련되는 과정, 그리고 이 정책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또한 이정청을 주도한 세력과 이정절목을 작성한 중심인물이 누구인지, 그리고 이렇게 작성되었던 절목이 왜 곧바로 파기되고 말았는지의 문제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특히 ‘파환귀결罷還歸結’을 중심으로 하는 이정정책을 둘러싸고 안동 김씨 세력을 비롯한 좌의정 조두순과 영부사 정원용 등 중앙정계 핵심인물들 간에 일어났던 논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이정청의 개혁정책이 실패한 원인을 당시 조선 정부의 재정상황이나 국가 운영체계의 개혁수행 능력 등과 관련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임혜련의 ?철종대 정국과 권력집중 양상?은 1862년 농민항쟁이 발생배경과 그에 대한 대책 논의 과정을 철종대 정국의 동향과 관련하여 살펴본 글이다. 이에 따르면 철종대의 정국은 왕이 될 준비가 없이 즉위하였기 때문에 무엇보다 왕으로서의 정통성을 확보하려기 위해 노력한 철종, 그리고 오히려 이를 이용하고 견제하며 권력을 독점해 간 안동 김문 양가에 의해 조성되었다. 임술민란이 발생한 시기는 안동 김문이 자신들의 가문의 위상이 강화된 가운데 철종의 인척과 종친들을 제거하여 지배 체제를 유지하려던 무렵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의 관심사는 백성들의 고통과 그에 대한 해결이 아니었으며, 그들의 권력획득과 보존이 우선이었다는 것이다. 다만, 민란 발생에 따라 민의를 알게 됨으로써 삼정이정청을 설치하고 이정의 의견을 널리 구하여 폐단을 해결하려 노력하였던 점은 의의가 있지만, 결국 삼정의 문제보다는 권력의 유지가 우선되는 한 그 노력은 성공하기 어려웠기에 임술민란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권기중의 ?단성민란과 향리층의 지속과 변동?은 권력의 하수인이자 행정 실무자였던 향리들이 어떤 방식으로 민란의 시대라는 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중앙과 지방의 지배세력들은 그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그에 따르면 단성 민란 과정 속에서 민들의 주된 공격 대상이었던 향리층은 민란 이후에도 여전히 전통적 향리가문을 중심으로 군현의 행정을 전담하였다고 한다. 필자는 이 두 가지 점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익혀온 전문행정능력에 대한 중앙 및 지방정부의 신뢰이며, 다른 하나는 지역 내외의 여러 세력과 맺고 있었던 네트워크가 그것이다. 민란주도층은 향리 포흠의 핵심인물들을 처벌할 것을 주장하였지만, 중앙정부나 지방수령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행정조직을 통한 민의 통치가 급선무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필자는 단성 향리들은 조세문제를 둘러싸고 적대적 관계에 있었던 지역사족과도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의 실상제3부에는 19세기 중국과 일본의 민중운동을 다룬 두 편의 글을 실었다. 19세기에는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민란과 유사한 형태의 민중운동이 빈발하였다.

     

    홍성화의 ?1841~42년 종인걸鍾人杰의 난을 통해서 본 청대 지방사회?는 1841년에서 42년에 걸쳐 43일 동안 호북성에서 일어난 종인걸의 난을 중앙정부와 지역사회의 관계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있다. 종인걸의 난은 그 보다 앞서 일어난 백련교白蓮敎의 난이나 태평천국 운동 등에 비하면 규모면에서나 영향력면에서 도저히 비교할 수 없는 소규모의 것이지만, 이 반란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발생한 것이었다고 한다. 19세기에 들어 청조는 인구 증가로 인해 커져 가는 국가행정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서리胥吏와 신사紳士에게 더욱 큰 권한을 부여하였다. 이들은 민중들에게 정규세액보다 더 많은 부가세와 과외징수를 자행하였으나, 국가권력, 특히 당시의 지방행정시스템으로는 이들의 부정부패를 막을 현실적인 능력이 없었다고 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 속에서 서리와 신사의 대립이 폭력적으로 비화한 사건 가운데 하나가 ‘종인걸의 난’이라고 하였다.

     

    조경달의 ?조선의 민본주의와 민중운동-근세일본과의 비교?는 「比較史的にみた近世日本-?東アジア化?をめぐって」(須田努との共編著,東京堂出版,2011年 5月)에 실린 ?朝鮮の民本主義と民衆運動-近世日本との比較?를 번역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민중운동에서 드러나는 민본주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민중운동 및 민중의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나아가 그를 단서로 양국의 통치원리에 대해 비교사적으로 살펴본 글이다. 앞부분에서는 임술민란에 대한 위정자들의 언설을 통해 조선의 민본주의가 정치 원리라는 면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폈고, 뒷부분에서는 동학농민군의 <무장포고문>과 1837년(天保 8년)에 일어난 오오시오 헤이하치로의 난(大?平八?の亂)의 격문을 비교하여 양국의 민본주의에서 보이는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조선에서는 유교가 국가사회의 원리로서 존재하였고, 민본주의는 당연히 사람들에게 내면화되어 있었지만, 일본에서는 그렇지 못하여 통치 수단으로서의 측면이 농후하였다고 지적하였다.

     

    ■ 집필진(원고 게재 순) |

    배항섭 · 손병규 책임 편집

     

    ○ 배항섭裵亢燮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 교수

    ○ 싸오쯔리肖子力· 천야링陳亞玲 | 중국 화남사범대학 교수· 화남사범대학 박사과정

    ○ 쓰다 츠토무須田努 | 일본 메이지대학 교수

    ○ 손병규孫炳圭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HK)연구소 교수

    ○ 송양섭宋亮燮 |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 김경란金京蘭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수석연구원

    ○ 송찬섭宋讚燮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 임혜련林惠蓮 |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강사

    ○ 권기중權奇重 | 한성대학교 사학과 교수

    ○ 홍성화洪成和 | 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조경달趙景達 | 일본 치바대학 교수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배항섭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로 한국근대사가 전공이다. 대표 논저로 <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2015),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2015, 공저), ?근대이행기의 민중의식\근대와 반근대의 너머?,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 역사인식의 天網인가?,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내재적 접근? 등이 있다.

    손병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책을 펴내면서

    1부 | 동아시아 민중운동사 연구의 현재

    임술민란의 민중상에 대한 검토-근대지향성에 대한 반성과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배항섭(裵亢燮) 

    최근 10년간의 태평천국사 연구|?오쯔리(肖自力) 천야링(??玲)

    ‘전후 역사학’에서 이야기된 민중이미지를 지양한다|쓰다 츠토무(須田努)

     

    2부 | 19세기 조선사회와 임술민란

    19세기 ‘삼정문란’과 ‘지방재정 위기’에 대한 재인식|손병규(孫炳圭)

    임술민란기 부세문제 인식과 삼정개혁三政改革의 방향|송양섭(宋亮燮)

    임술민란 전후 전라도全羅道의 군정軍政운영과 식리殖利문제|김경란(金京蘭)

    1862년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의 구성과 삼정이정책|송찬섭(宋讚燮)

    철종대 정국과 권력집중 양상-임술민란 배경과 관련하여|임혜련(林惠蓮)

    단성민란과 향리층의 지속과 변동|권기중(權奇重)

     

    3부 | 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의 실상

    1841~1842년 종인걸鍾人杰의 난亂을 통해서 본 청대 지방사회|홍성화(洪成和)

    조선의 민본주의와 민중운동 근세 일본과의 비교|조경달(趙景達)

     

    원 게재지 일람

    찾아보기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