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철학과 동방사상

  • 출판부도서
  • 인문
    • 기획도서
    • 유교문화연구총서
  • 류승국 지음
출간일 2010-02-28
ISBN 978-89-7986-828-9
면수/판형 신국판(152 X 225)·404쪽
가격 22,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이제 구순九旬을 바라보는 한 노老학자가 동방사상, 특히 유학철학을 재조명함으로써 현대사회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한 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동서철학을 두루 겸섭하며, 갑골학과 금석학에 대한 연찬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고전과 고문헌을 탐구하여 한국철학 사상의 정립에 주력한 류승국柳承國 박사다. 저자는 ‘중국유학의 근본사상’, ‘동방사상과 현대’, ‘전통문화의 재조명’ 등 세 개의 큰 줄기로 나누어, 중국에서 유학사상 형성의 맥락과 철학적 근원을 살피고, 그에 비추어 한국사상의 특이성을 부각시키면서 동아시아, 나아가 현대사회에서 유학의 새로운 의미를 탐색한다. 특히 편협한 가치와 왜곡된 선입견에 함몰되지 않는 동방사상의 본류를 통시적인 호흡으로 호출해냄으로써, 그로 말미암아 우리네 삶에서 결코 동떨어질 수 없는 ‘선명하고 현실적인’ 유학의 가치와 법도를 돋움 세운다.

     

    유가철학의 근저에 놓인 사상의 맥락을 통시적으로 조감함으로써오늘날 사회와 인간을 향해 ‘가치의 수’를 놓는다

     

    제1부 ‘중국의 유학사상’에서는 유학사상을 철학적으로 조명하는 문제와 각 시기별로 유학사상의 특성을 살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학에 대한 철학적 조명은 다양한 입장과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문제로서 그 가닥을 잡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저자는 존재, 인식, 가치의 거시적 차원에서 중국의 유학사상을 조명하면서 쉬운 언어로 그 맥을 짚어 나간다.특히 선진유학기의 공자의 ‘인仁’, 맹자의 ‘의義’, 그리고 순자의 ‘예禮’ 사상을 살피면서 유학사상 생성의 밑그림을 그리고, 송대 성리학의 형성을 유불도 삼교의 교섭사에서 살피면서 유학사상의 특징을 부각시킨다.제2부는 ‘동방사상’이란은 주제어를 가지고 현대를 바라본 것이다. 또한 한국사상의 원류와 중국사상을 비교하여 그 같고 다른 점을 살핌으로써 상대적으로 한국사상의 특이성을 부각시키려 하였다. 나아가 공자의 도가 근.현대 사회에 어떤 역할을 해왔으며 또한 현대 사회에 어떠한 기능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지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성찰하였다. 노장철학의 근본문제와 그 의의를 재인식하면서는 동아시아 사상기조로 ‘생명’ · ‘평화’ · ‘상생’을 들고, 이 세 가지 가치관과 사고방식이 한국사상 속에 본질로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가치가 이상적으로 구현될 때 대동사회大同社會라는 이상상理想像이 구현되리라 기대한다.제3부에서는 전통문화와 현대 철학사상의 상함관계相涵關係를 밝히고, 전통문화가 오늘날 어떻게 전승되어야 하는지의 문제를 논술하였다. 특히 유교사상이 민족문화에 끼친 영향과 의의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하여 새 시대의 문화 창조에 밑거름이 되어야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은이 소개::

    이 책의 저자인 류승국柳承國 박사는 1923년 충청북도 청원에서 태어나, 1952년 성균관대학교 문학부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1956년 동 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수료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를 이수하였고, 1975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958년 충남대학교 전임강사로 있다가 1960년 성균관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1988년 정년퇴임 때까지 유학과 · 한국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 사이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장, 도서관장 겸 박물관장 등 보직을 겸임했으며, 대한민국학술원 정회원에 추대되고 1983년부터 3년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정년퇴임 이후에는 방송위원회 상임위원,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원장, 재단법인 동방문화연구원 대표이사, 율곡문화원 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동서철학을 두루 겸섭한 저자는 갑골학과 금석학에 대한 연찬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고전, 고문헌을 탐구하여 한국철학사상의 정립에 주력하였고, 평화와 상생相生과 통일, 그리고 유교의 인도주의를 화두로 수많은 논저를 남겼다. 특히 1960년대 초부터 관심을 가지고 탐구해온 갑골학 연구와 광개토왕비 등 금석학에 대한 연찬은 한국사상의 원형을 밝히고 그 의의를 세계에 천명하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저서로 『한국민족사상사 대계 개설편』(공저), 『동양철학논고』, 『한국의 유교』, 『유학원론』(공저), 『동양철학연구』, 『한국사상과 현대』 등이 있고, 역서로 『벽위편闢衛篇』 등이 있다. 그의 저술은 중국에서 『韓國儒學史』, 『韓國儒學與 現代精神』으로 번역 출간되기도 하였다.

     

    ::책 속에서::

    ...동양사상의 핵심은 하늘과 땅 사이에서 인간이 존중받는 데 있다. 중세기가 종교를 중시하는 ‘천天’ 중심의 사회였다면, 현대는 물질과 학을 중시하는 ‘지地’ 중심의 사회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은 종교와 과학은 있지만 인간은 없다. 그야말로 인간 소외의 시대이다. 그러나 종교나 과학이 아무리 숭고하고 위대하더라도 인간의 생명을 도외시하고는 진정한 의미가 없다. 종교의 인간화, 과학의 인간화가 이루어질 때 이상사회가 될 것으로 믿는다. 여기서 종교와 과학의 양극을 매개하는 것으로서의 ‘인간’의 의미가 다시 조명되고 새롭게 부각되어야 할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

     

    ...유교의 근본이념은 어느 시대나, 어떤 제도나, 어느 풍습에도 통할 수 있는 보편성.융통성이 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 하지만, 가정이나 국가나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며 옹호하는 수단으로서 그 사상을 전개하는 것이기보다는 적나라한 인간 그 자체를 문제 삼아 참다운 자기의 발견과 자신의 생명에 대한 존엄성을 발휘, 유지하는 데 그 본의가 있다 할 것이다. 공자의 가르침도 참된 의미의 자아를 철학적으로 성찰하여, 나아가서는 자기를 부정하고 희생하는 데까지 이르는 자아의 신장을 강조한 데 있다 할 것이다. ‘극기복례克己復禮’나 ‘살신성인殺身成仁’의 경지에 이르는 데서, 진정한 자아 속에 내재하는 보편한 인류적 자아를 발견하여 비로소 진정한 세계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본문 336쪽 중에서)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류승국

    1923년 충청북도 청원에서 태어났다. 1952년 성균관대학교 문학부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1956년 동 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수료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를 이수하였고, 1975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58년 충남대학교 전임강사로 있다가 1960년 성균관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1988년 정년퇴임 때까지 유학과․한국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 사이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장, 도서관장 겸 박물관장 등 보직을 겸임했으며, 대한민국학술원 정회원에 추대되고 1983년부터 3년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정년퇴임 이후에는 방송위원회 상임위원,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원장, 재단법인 동방문화연구원 대표이사, 율곡문화원 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동서철학을 두루 겸섭한 저자는 갑골학과 금석학에 대한 연찬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고전, 고문헌을 탐구하여 한국철학사상의 정립에 주력하였고, 평화와 상생相生과 통일, 그리고 유교의 인도주의를 화두로 수많은 논저를 남겼다. 특히 1960년대 초부터 관심을 가지고 탐구해온 갑골학 연구와 광개토왕비 등 금석학에 대한 연찬은 한국사상의 원형을 밝히고 그 의의를 세계에 천명하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것이라 할 수 있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_序

     

    1. 중국유학의 근본사상

    선진유학의 근본문제

    송대 성리학 형성의 연원적 고찰

    유학사상의 철학적 탐구

     

    2. 동방사상과 현대

    한국사상의 원류와 중국사상

    공자의 도와 현대사회

    노장철학의 재인식

    동서사상의 특수성과 보편성

    동아시아 사상기조

     

    3. 전통문화의 재조명

    전통사상의 원류

    한국 민족혼과 그 사상

    효와 미래사회

    전통 예학의 본질과 현대 예제의 방향

    한국문화 속의 동양문화

    민족문화와 유교사상

     

    부록. 영문원고

    _찾아보기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