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장의 형성과 동아시아

  • 출판부도서
  • 인문
    • 기획도서
    • 동아시아학술원총서
  • 진재교, 한기형 지음
출간일 2008-02-29
ISBN 978-89-7986-732-9 93810
면수/판형 변형판 158x228·342쪽
가격 18,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이 책은 현재 열띤 논의가 오가고 있는 ‘동아시아학’의 방법론을 하나의 비교, 대조의 틀로 삼아, 한중일의 근대 '문학'과 '문예'을 보다 거시적인 시각으로 상호 교차시켜 되짚어보려는 학문적 시도의 소산이다.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던 (서구) 근대문학의 범주와 속성들을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반성해보고, 그를 통해 형성되는 비판적 공감대 속에서 텍스트를 넘어서는 트랜스-미디어의 역동성을 확인해내려고 하였다.

     

    21세기 이 시점에서 과거 동아시아 문학의 역사를 다시금 되짚어 검토하는 일은 어떤 생산성을 담보할 수 있을까? 우선 국민국가 단위로 전개되어온, 한·중·일 삼국의 근대문학 형성 및 전개 과정을 서로 병치·대조하거나 착종·충돌시켜 봄으로써 고정된 문학사적 문맥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기존 문학사 서술과 달리 문학사로는 수렴하지 못하는 ‘주변적’ 사실로부터 문학적 현상의 새로운 의미망을 끄집어낼 뿐만 아니라, 여기서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縱)적 공통성도 발견할 수도 있다. 동아시아 삼국을 한 단위로 하는 단순 비교와 대조를 넘어서 종횡의 착종과 충돌을 통해 기왕에 국가로 경계 지워진 문학 및 문학사의 관념을 뒤흔들고, 이를 다시 사유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기여할 터이다.

     

    몇 논문은 문학사에서의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이 상호 길항하고 균열하면서도 접점 속에서 이어지는 양상을 탐구하고 있다.(진재교, 홍준형) 이는 동아시아 전통 문학 양식의 근대적 전환 양상을 주목하고 그 결절점을 확인한 것이기도 하다. 어떤 경우는 근대문학이라는 새로운 관념과 제도가 그 자신이 미처 의식하지 못한 가운데 정치, 제도, 미디어의 또 다른 근대적 관념 및 제도들과 복잡한 방식으로 얽히는 국면을 발견함으로써, 기존의 문학사적 설명 패러다임이 가진 과도한 단순화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한다.(한기형, 차태근) 또한 더러 문학사 서술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정 시대의 문학적 논쟁이 기실 지식사회학이나 정치학의 틀로 분석할 때, 훨씬 명료하게 파악될 수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김미정, 이정훈, 이희경) 여기서 우리는 특정 시대의 문학 현상을 ‘문학 장’의 복잡한 사회적 자장 속에서 파악할 때, 그것이 변형된 형태의 공론 장 혹은 공론 장의 부재, 더러는 왜곡을 대속(代贖)하는 어떤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그런가하면 어떤 글은 전쟁이라는 극단적 정치상황 속에서 문학 텍스트가 사진이라는 이미지와 결합하여 ‘화보 잡지’의 형태로 ‘선전’이라는 정치적 임무를 수행하는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김영숙). 노래 운동이라는 형태 속에서 노랫말(시)이 음악과 결합하여 강력한 대중적 전파력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운동-정치를 이루어 국제적 연대의 정치적 계기를 보여준 점을 밝히기도 한다(임경화). 여기서 우리가 텍스트 중심주의에 빠질 때, 흔히 간과하기 쉬운 트랜스-미디어의 다이너미즘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집필자

    진재교_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한기형_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차태근_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홍준형_동덕여자대학교 중국어과 조교수

    김영숙_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BK21박사후연구원

    김미정_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수료

    이희경_전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이정훈_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BK21박사후연구원

    임경화_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원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진재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한기형

    충청남도 아산에서 출생했다.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근대소설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부임했으며 국립타이완정치대학 객좌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문화제도사의 시각에서 식민지 근대성의 구조를 해명하는 데 문제의식을 두고 있다. 연구의 초점은 대중매체의 역사성, 문화시장과 문장표현에 대한 국가검열의 영향 두 가지이다. 그동안 『카프비평자료총서』(공편), 『한국 근대소설사의 시각』, 『근대어ㆍ근대매체ㆍ근대문학』(공저), 『흔들리는 언어들』(공편), 『식민지 검열―제도ㆍ텍스트ㆍ실천』(공편), 『염상섭문장전집』(공편),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공편), 『근대 학술사의 전망』(공저), 『帝國の檢閱―文化の統制と再生産』(공편), 『제국의 검열―문화의 통제와 재생산』(공편), 『미친 자의 칼 아래서―식민지 검열관련 신문기사자료』 등의 책을 쓰거나 동료들과 함께 편집했다.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