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과 생명

  • 출판부도서
  • 인문
    • 기획도서
    •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 생명학 CLASS
  • 송재소 지음
출간일 2025-05-16
ISBN 979-11-5550-667-7
면수/판형 46판(127 X 188)·80쪽
가격 12,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고전 속에 담긴 생명관

    :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 생명학 CLASS 세 번째 책은 퇴계학연구원 원장이자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인 지산(止山) 송재소 선생님의 강연을 정리했다. 다산학(茶山學)의 대가이자 시와 술과 차가 있는 중국 인문 기행(창비)의 저자로도 잘 알려진 송재소 선생님은 고전과 생명이라는 주제로, 현재 불안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고전 속에 담긴 생명관을 따뜻하고 재미있게 풀어준다. 동시에 이 강연을 통해서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가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배울 수 있다.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 생명학 CLASS>를 기획하며

    : 오늘날 우리는 생명이라는 단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하지만, 그 의미를 깊이 성찰할 기회는 많지 않다. 근대 과학과 서구적 사유 속에서 정립된 생명개념은 우리 삶에 깊숙이 스며들었지만, 동시에 인간과 자연, 기계와 생명의 경계를 엄격히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만들어 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기후 위기, 인구 구조의 변화, 첨단 기술의 발전, 인공지능(AI)의 등장과 같은 거대한 전환을 맞이하면서, 기존의 생명관은 더 이상 충분한 설명력이 없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 우리는 다시금 묻는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생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떤 가치를 부여해야 하는가? 생명과 생명을 잇는 관계 속에서 돌봄과 책임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기술 발전과 함께 생명윤리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의 생명학 CLASS 시리즈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기획되었다.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는 동아시아적 전통 속에서 생명 개념을 탐구하고, 현대 과학기술 및 인문학적 사유를 융합하여 생명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시도를 이어가고자 한다. 이 강연록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학술적,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생명을 해석하고, 현대 사회가 직면한 생명 관련 난제들을 조망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특히, 현재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돌봄(care)’생명윤리(bioethics)’의 가치에 주목하며, 생명과 생명 사이의 관계성을 조명한다. 이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근대적 생명관의 한계를 넘어, ‘돌봄생명윤리를 중심으로 자연과 인간, 기술과 생명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한다. 생명에 대한 철학적, 윤리적, 사회적 논의를 확장함으로써, 보다 지속 가능하고 공생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기획의 말

        

    고전과 생명

    1. 들어가며

    2. 생명,

    3. 자연 속에 묻혀, 자연과 더불어

    4. 인간과 자연의 관계

    5. 자연의 파괴

    6. 생태중심주의(Ecocentrism)

    7. 생명 중심주의(Biocentrism)

    8. 자연과 밀착되다

    9. 물아일체(物我一體)

    10. 솔개는 날고 물고기는 뛰논다

    11. 산림의 즐거움

    12. 거역할 수 없는 자연의 이법

    13. 매화와 문답하다

    14. 천리에 나를 맡기다

    15. 인간, 자연 그리고 우리의 미래

        

    Q&A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