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 국가, 인공생명
: 고대 그리스부터 21세기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수행하며 주목받고 있는 세계적인 석학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윤비 교수님의 특강을 정리했다. ‘인간 국가 인공생명’이라는 주제를 하나로 합치니 낯설게 느껴지지만, 흔히 ‘인공생명’이라고 하면 요즘은 보통 요즘 포스트휴먼(Post-human)이라는 주제를 많이 떠올린다. 인간이 아니라 인조적으로 창조된 생명체, 예를 들면 로봇일 수도 있고, 일종의 유기물질을 합성해서 만든 공상과학 소설에 나오는 인공적인 생명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다루는 인공생명은 ‘인공지능’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에 관심이 대단한 요즘, 앞으로도 이 문제를 갖고 굉장히 오랫동안 고민하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은 학자들에게도 심각한 문제겠지만 사회적으로도 여러 가지 문제를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이를 이용해 딥페이크(Deepfake) 같은 기술을 오용하거나 남용하는 사람들도 등장하고, 또 인공지능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 이처럼 큰 관심거리이자 논란거리인 인공지능, 사람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두고 신기하게 생각하고, 또 한편으로는 공포심을 느낀다.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학자들은 전문가로서 자신들의 지위가 위태로워진다고 느끼거나, 때로는 인공지능에 너무 의존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인공지능이 작업의 질에서도 인간을 능가하지는 않을까 우려한다. 이 책에서는 인공지능이라는 문제를 조금 더 역사적이고 인류학적인 관점, 문화적인 관점에서 한번 들여다보려고 한다.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 생명학 CLASS>를 기획하며
: 오늘날 우리는 ‘생명’이라는 단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하지만, 그 의미를 깊이 성찰할 기회는 많지 않다. 근대 과학과 서구적 사유 속에서 정립된 ‘생명’ 개념은 우리 삶에 깊숙이 스며들었지만, 동시에 인간과 자연, 기계와 생명의 경계를 엄격히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만들어 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기후 위기, 인구 구조의 변화, 첨단 기술의 발전, 인공지능(AI)의 등장과 같은 거대한 전환을 맞이하면서, 기존의 생명관은 더 이상 충분한 설명력이 없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 우리는 다시금 묻는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생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떤 가치를 부여해야 하는가? 생명과 생명을 잇는 관계 속에서 돌봄과 책임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기술 발전과 함께 생명윤리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의 생명학 CLASS 시리즈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기획되었다.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는 동아시아적 전통 속에서 생명 개념을 탐구하고, 현대 과학기술 및 인문학적 사유를 융합하여 생명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시도를 이어가고자 한다. 이 강연록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학술적,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생명을 해석하고, 현대 사회가 직면한 생명 관련 난제들을 조망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특히, 현재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돌봄(care)’과 ‘생명윤리(bioethics)’의 가치에 주목하며, 생명과 생명 사이의 관계성을 조명한다. 이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근대적 생명관의 한계를 넘어, ‘돌봄’과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자연과 인간, 기술과 생명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한다. 생명에 대한 철학적, 윤리적, 사회적 논의를 확장함으로써, 보다 지속 가능하고 공생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석사 과정을 마치고 독일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의 초청 장학생으로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훔볼트대학교에서 고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정치사상을 강의하고,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장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며, 현재 사회과학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2023년 가을 세계 석학들의 경연장인 베를린 고등연구원 펠로우로 선임되어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의 리더 30인과 독일에 머물며 세계 민주주의 위기의 원인과 해법을 연구했다. 2024년에는 서양 전근대 정치사상의 변동을 주제로 세계적 명성을 가진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아카데미 아인슈타인 홀에서 단독 강연을 했다. 저서로는 『위험한 국가의 위대한 민주주의』, 『서구지성사입문』 외 다수가 있다.
기획의 말
인간 국가 인공생명
1. 들어가며
2. 왜 우리는 인공지능의 발달을 두려워하는가
3. 인간의 허약함과 자연에 대한 공포
4. 초인에 대한 공포
5. 스스로 창조한 세계에 대한 공포
6. 창조된 인간 ― 법적 인간
7. 법적 인격체로서의 국가
8. 리바이어던 ― 인공인간으로서의 국가
9. 인공 생명체에 대한 공포 –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10. 인공지능 ― 인간의 삶을 뒤바꾸다
11. 우리는 해낼 수 있을까?
12. 관료제와 AI ― 통제하기 어려운 두 힘
13. 민주주의로 AI의 위험을 통제할 수 있을까?
14. 섣부른 해결책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