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으로서의 열린 동아시아’가 펼쳐온 논제를
‘미래가치’로 전환하는 본격적 출발점
‘열린 동아시아’는 단순히 한국·중국·일본을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수준을 넘어,
시공간과 학제를 넘나드는 방법이자 시각 그 자체로 고안된 용어이다.
여기에 인문학과 대중의 접점을 확대하고자 하는 문제의식 또한 겸비하고 있다.
즉, 우리가 지향하는 것은 거의 모든 학문적 대상과 범주,
그 경계와 미개척지, 그리고 사회에 대해서도 ‘열려 있는’ 동아시아학이다.
바로 여기에 한국 인문학의 비전에 있다.
__열린 동아시아, 인문한국의 비전 제목의 배경
이 책의 제목 『열린 동아시아, 인문한국의 비전』은 사실 도발적인 면이 있다.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해온 ‘인문한국’ 사업을 저자들이 대변하겠다는 듯한 ‘오만함’이 살짝 묻어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제목은 2018년 3월부터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이 진행한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의 과제명과 일치한다. 해당 과제명을 고스란히 책 제목으로 옮긴 이유는, 이 책에 2025년 2월로 종료되는 HK+사업 7년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는 의미를 담았기 때문이다. 즉, 이 책은 ‘인문한국’이라는 고유명사와 함께 동아시아학술원이 수행해온 7년, 더 소급하자면 17년의 연구 활동을 매듭짓는 위치에 있다. 19명의 공동저자가 예외 없이 HK+연구인력으로만 구성되었다는 점도 강조하고자 한다.
지난 7년간 동아시아학술원은 「열린 동아시아, 인문한국의 비전」이라는 아젠다 아래 동아시아학이 의미하는 융복합 인문학의 국제적·사회적 효용성을 탐색하는 데 집중해왔다. 구체적으로는 젠더·민주주의·번역 등 기왕의 학술적 화두를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하였을 뿐 아니라, 최근의 글로벌 이슈인 기후 및 환경문제, ‘생명’의 학제적 재인식 등을 새로운 동아시아학의 화두로 제기하기도 했다. 그 모든 걸음걸음을 이 총서 안에 전부 녹여낼 순 없었지만, 적어도 이 책이 ‘방법으로서의 열린 동아시아’가 펼쳐온 논제를 ‘미래가치’로 전환하는 본격적 출발점이 되리라는 점은 의심하지 않는다.
__‘열린 동아시아’란
『방법으로서의 열린 동아시아』(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2) 서문에서는 ‘열린 동아시아’의 정의와 의의에 대해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특정 시간이나 시대, 국가나 지역, 분과학문에 국한하지 않고 서로의 경계를 열어두고 접근한다는 인식론적 방법과 시각을 말한다”고 설명했는데, 이는 ‘열린 동아시아’의 개념과 지향점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일 것이다. 이렇듯 ‘열린 동아시아’는 단순히 한국·중국·일본을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수준을 넘어, 시공간과 학제를 넘나드는 방법이자 시각 그 자체로 고안된 용어이다. 여기에 인문학과 대중의 접점을 확대하고자 하는 문제의식 또한 겸비하고 있다. 물론 크게 열려 있기에 공허한 외침에 그칠 위험성도 존재한다.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분야에서 ‘동아시아’라는 키워드 자체가 이미 상용어처럼 되어버린 지금, 과연 ‘열린 동아시아’가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동아시아학술원 HK+사업단은 3대 핵심 연구영역을 설정하였다. 바로 「사회적 관계성」, 「난(亂)과 민주주의」, 「열린 지식과 표상」이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중국고대사(전국·진한시기)와 출토 문헌 및 고대동아시아사 전공. 전국·진한시기 국가권력의 성격, 변경 지역의 실태, 사상 문화의 보급 및 고대 중국과 한국의 관계 등을 연구해 왔다. 주요 논문으로 「전한시기 『논어(論語)』의 전파와 그 내용-새로운 출토문헌 『논어(論語)』의 『제론(齊論)』설과 관련하여-」(2018), 「前漢時期 西域 境界를 왕래한 使者들 -『敦煌懸泉置漢簡』 기사를 중심으로」(2021) 외 다수와 주요 역서로 『문자의 발견-역사를 흔들다』(2016), 『간독이란 무엇인가?』(2017),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2023)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한국근대소설 및 동아시아 비교 문학 전공. 대한제국기의 지식 수용, 한국근대문학과 번역의 관계, 동아시아의 애국 담론 등을 연구해왔다. 주요 저서로 『근대문학의 역학들 –번역 주체 · 동아시아 · 식민지 제도』(2019), 『중역(重譯)한 영웅 – 근대전환기 한국의 서구영웅전 수용』(2023), 『대한제국과 콜럼버스』(2023) 등이 있다.
서문
Ⅰ 동아시아 연구의 현재와 미래
동아시아사 연구의 방향과 가능성 : 배항섭
법문학비평 관점에서 전근대 동아시아 소설 읽기 : 박소현
“문체반정”과 동아시아 한문학 : 김용태
해방기 번역의 역학과 동아시아 텍스트 : 손성준
동아시아 냉전과 군 ‘위안소’의 연쇄 : 임우경
Ⅱ 사회적 관계성
상이한 서사(書寫)가 기록된 고전문헌의 비판적 다시 읽기 : 김경호
일본・고려와의 무역 사례를 통해 본 원(元)의 대외 정책 : 고은미
역관(譯官), 사(士)와 상(商)의 경계에 서다 : 김영죽
탈인종화시대, 일본의 혼혈/혼종 담론과 실제 : 박이진
중국 신질생산력의 제안 배경과 정책적 요인 해석 : 장무후이
Ⅲ 난과 민주주의
삽화와 반란 : 이평수
근대전환기 일본 여성의 정치참여와 자기인식 : 박은영
정부 수립기 잡지 『월간 아메리카』의 번역 속 소년 표상과 미국의 문화외교 : 김예진
1975년 세계여성대회와 분단 체험 : 이혜령
Ⅳ 열린 지식과 표상
재난에 처한 인간 생명과 유학의 대처 : 이영호
오래된 학교의 깊은 비밀 : 임태승
‘피리 부는 목동[牧笛]’의 풍경 속에 굴절된 소(牛)의 생태와 그 의미 : 고연희
왕세정(王世貞)과 조선조 후기 문예장(文藝場) : 진재교
전쟁과 문학장 그리고 ‘비국민-되기’ : 정우택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