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수사학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경문의 어휘 배열, 문장 구조 및 표현 기술 등
구체적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경전의 문학적 가치를 충분히 드러낸 연구서
이 책은 전근대 동아시아 지식인들이 경학의 한 방법으로서 ‘수사(修辭)’를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밝히고, 한·중·일의 대표적인 <맹자> 주석서를 수사학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그 해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의 독창적인 시각이 잘 드러난 이 책은 경전 수사학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경문의 어휘 배열, 문장 구조 및 표현 기술 등 구체적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경전의 문학적 가치를 충분히 드러내고 있다. 특히 <맹자>라는 웅건한 기세와 거침없는 전개, 그리고 간결한 표현 속에 풍부한 의미가 담긴 경전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12세기에서 19세기 중국, 한국, 일본의 대표 저작을 비교하며, ‘경전 수사학’이라는 매우 구체적인 방법론을 통해 동일한 한자문화권 내의 서로 다른 민족과 국가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특징을 지녔는지를 상세하게 탐구하였다. 유교 경전의 수사학은 이를 통해 풍부하면서도 체계적인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Ⅰ장과 Ⅱ장에서는 문제의식과 함께 경전 수사학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둘째, Ⅲ장, Ⅳ장, Ⅴ장의 1절에서는 한·중·일의 대표적인 <맹자> 주석서를 대상으로 수사학적 경전 해석의 보편성을 고찰하였다. 셋째, Ⅲ장, Ⅳ장, Ⅴ장의 2절에서는 한·중·일의 대표적인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를 대상으로 수사학적 경전 해석의 특수성을 구명(究明)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세 부분 모두 철학과 문학이라는 서로 다른 분과 학문을 유기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물론, 각 나라의 학술 장이 지닌 특징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서술하고자 하였다.
이 책이 경전 연구 분야에서 신선한 시각을 제공하여 새로운 담론을 이끌어내고, 또 더 도전적이고 더 큰 시야의 연구를 추동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 의심하지 않는다.
현 중국 절강대학교 역사대학 한국연구소 조교수. 전 복단대학교 철학대학 박사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학사, 동아시아학과 석사 및 박사.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박사펠로우십과 국제역량강화프로그램, 그리고 중국 박사후과학기금회의 학술교류프로젝트를 획득.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방문 연구, 중국 북경대학교와 중국사회과학원 및 일본 오카야마대학교에서 단기 연수.
동아시아 고전학의 국제화에 관심이 있으며, 주로 17세기~19세기 한·중·일 지식인들의 <논어>와 <맹자> 해석을 연구. 연구 성과로는 <대동문화연구> 등의 KCI 한국어 논문을 포함하여, <Religions> 등의 A&HCI 영어 논문과 <朱子學硏究> 등의 CSSCI 중국어 논문이 다수 있으며, 세계철학자 대회와 국제퇴계학회 등의 미국과 중국, 그리고 국내 학술 대회에 다수 참가.
추천의 글 1
추천의 글 2
Ⅰ 서론
1. 경전經典과 수사학修辭學
2. 연구의 시각과 방법
Ⅱ 경전 수사학의 발단과 성립
1. 경학의 한 방법, ‘수사修辭’
2. 경전의 수사학적 인식과 그 전개
Ⅲ 중국의 수사학적 경전 해석
1. 주희朱熹의 <맹자집주孟子集注>
2. 우운진牛運震의 <맹자논문孟子論文>
Ⅳ 한국의 수사학적 경전 해석
1. 이황李滉의 <맹자석의孟子釋義>
2. 위백규魏伯珪의 <맹자차의孟子箚義>
Ⅴ 일본의 수사학적 경전 해석
1.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맹자고의孟子古義>
2. 히로세 탄소廣瀨淡窓의 <독맹자讀孟子>
Ⅵ 결론
<부록> 청대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와 그 목록(총 26종)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