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호의 <연행록>은 필사본 1책(98장)으로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표제는 ‘燕行錄’으로 권차(卷次)의 구분이 없는 단권(單卷)이며, 해서(楷書)와 초서(草書)로 쓰여 있다.
유언호 <연행록>의 가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연행록에서 연행 관련 지식과 정보를 널리 수용하고 있다. 또한 ‘鞦韆’과 ‘火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후대 연행록에서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연행록>은 이전 연행 관련 지식과 정보를 두루 수용하는 동시에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재생산한다.
둘째,<연행록>은 건륭제가 통치하는 청조 권력층의 실상과 이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는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의 동향 등 천하의 대세를 살피는 ‘審勢’로써 매우 각별하며, 또한 사신 본연의 직무이다.
셋째, <연행록>은 1787년 5월 22일 책문후시가 철폐된 이후 공식적인 첫 연행으로, 연행노정에서 책문후시 철폐와 관련한 다양한 사건사고를 목격한다. 당시 조선과 청의 무역에서 빚어지는 각종 폐단과 부작용뿐 아니라, 변경의 실상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넷째, <연행록>은 조환의 <연행일록>과 조득영의 연행시와는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지닌다. 더욱이 천주당과 서양 선교사에 대한 기록은 당시 조선 연행사가 북경의 천주당과 서양 선교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이 감지된다. 따라서 조선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만남을 심층적이고 다양한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유언호(兪彥鎬, 1730~1796) : 자는 士京, 호는 則止軒, 본관은 杞溪. 1761년 문과에 급제한 뒤 개성 유수, 대제학, 예조 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 연암 박지원, 족질 유한준 등과 밀접하였다. 문집 <燕石>(필사본)이 있고 1787 년 동지정사로 청에 다녀온 후 연행록을 남겼다.
경성대 한국한자연구소 HK연구교수
성균관대 한문학과 박사과정 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