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의 핵심 사상에 대한 여러 이견을 고스란히 보여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그 사상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해석의 관점을 갖도록 한 책으로
퇴계 사상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개론서 역할을 해주는 연구서
■ 이 책은
이 책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발간 ‘사상가 특집’의 세 번째 권이다. ‘사상가 특집’의 기획 의도 중 하나는 유교문화연구소와 한국유교학회가 쌓아온 근 20년간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보고하는 데 있다. 이와 더불어 또 다른 기획 의도는 독자들이 이 한 권의 책을 통독함으로써 해당 사상가의 주요 사상들에 대하여 조망할 기회를 갖게 하는 데 있다.
이 세 번째 권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주제로 삼았다. 여기에 선별된 논문들은 각기 른 학자가 다른 시기에 발표한 것들이다. 이 때문에 한 학자가 일관된 관점으로 퇴계 황의 사상을 분석한 연구서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단점이기도 하나, 오히려 장점일 수 있다. 퇴계 이황의 핵심 사상에 대한 여러 이견을 고스란히 보여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그 사상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해석의 관점을 갖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책은 초학자나 대학원생들에게 오히려 특색 있는 개론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 책의 구성은 논문들의 성격과 주제에 따라 3부로 나눴다. 1부는 “퇴계 이황의 의리사상과 성리학적 경세론”, 2부는 “퇴계 이황의 비판적 사유와 역사적 전개”, 3부는 “퇴계 이황 철학사상의 현대적 의의”이다.
1부의 논문들은 퇴계 이황의 중심 사상을 논하는 주제에 관한 내용들이다. 성학(聖}學), 의리사상, 도학(道學) 등의 주제어와 “사칠론(四七論)”과 “경세론(經世論)” 등의 논의는 그 핵심을 담고 있다.
2부의 논문들은 퇴계 이황의 비판적 사유를 통해 그 본질을 제시하는 연구와 역사적 전개를 통해 드러나는 퇴계 학문의 위상 및 일본의 퇴계학 수용 양상에 관한 내용들이다. ‘이학(異學) 비판’, ‘명대유학(明代儒學) 비평’, ‘양명학 비판’ 등의 주제 관련 논의를 통해 퇴계 이황의 사상을 ‘비판’이라는 측면에서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퇴
계심학(退溪心學)’, ‘퇴계학(退溪學)의 실천지향적 성격’, ‘조선유학의 성립’ 및 「비교사적으로 본 근세 일본의 퇴계학 수용의 두 방향」은 퇴계학의 본질과 역사적 전개를 논의함으로써 사상사적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3부의 논문들은 퇴계 이황 철학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도덕교육, 생태론, 정신분석학 등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퇴계 이황의 철학사상은 보편성과 특수성의 측면에서 현대의 우리에게 지속적으로 학문적 의미를 남기고 있다. 따라서 전통의 현대화는 우리에게 남겨진 학문적 과제이기도 하다.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전문연구원
공주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
중앙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계명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한국철학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영주삼봉병원장
동국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 겸임교수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1949년 경기도 화성출신.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과와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성균관 유교신보사 편집인 겸 주간, 동양철학연구회장 등을 맡았으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장, 유학동양학부장, 한국유교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명예교수이다.
머리말 5
1부 주제별 퇴계 이해 -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철학사상
오석원, 퇴계 이황의 성학(聖學)과 의리사상
강희복, 퇴계의 도학(道學)과 경세론(經世論)
이치억, 퇴계 사칠론(四七論)에서 사단(四端)의 순선(純善)함에 대하여
안재호, 퇴계 “리발(理發)”설 재론(再論)
-‘리(理)의 능동성’ 의심과 부정에 대한 반성 9
2부 시대별 퇴계 이해 - 비판과 수용
추제협, 이학(異學) 비판을 통해 본 ‘퇴계심학(退溪心學)’
강경현, 퇴계의 명대 유학 비평과 퇴계학의 실천지향적 성격
김형찬, 퇴계의 양명학 비판과 조선유학의 성립
이효원, 비교사적(比較史的)으로 본 근세(近世) 일본(日本)의 퇴계학(退溪學) 수용의 두 방향
3부 현재와 미래 속의 퇴계 - 교육과 전승
지준호, 퇴계 이황의 도덕교육론
김세정, 퇴계 이황 철학사상의 생태론적 특성
이윤영·김혜원, 욕망의 본질에 관하여-퇴계 욕망론의 정신분석학적 이해
이상익, 퇴계 성리학의 보편성과 특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