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

  • 출판부도서
  • 인문
    • 기획도서
    • 유교문화연구총서
  • 황준걸(황쥔지에) 지음
  • 신정근, 안성수, 김선혜역자
출간일 2019-12-31
ISBN 979-11-5550-391-1
면수/판형 신국판(152 X 225)·400쪽
가격 20,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yes24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가 기원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 과정을 일별할 수 있는 책

     

    이 책은 

    유가하면 현재보다 과거에 초점을 둔다고 하는데 그리하여 유가 역사관의 특성이 옛날 또는 옛것을 높인다는 상고尙古 또는 숭고崇古에 있다고 한다. 특히 유가가 하의 삼대三代, 즉 세 왕조를 황금시대로 보고 있고 이를 현실에서 재현하려고 하는 점에서 상고 또는 숭고의 특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황준걸은 유가의 상고와 숭고 특성을 애써 감추거나 부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대신 유가의 역사가 왜 상고 또는 숭고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그 연원을 끈질기게 추적하여 밝히고 또 그 영향을 꾸준하게 조사하여 밝히는데 이 점에서 이 책의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황준걸은 상고 또는 숭고가 옛날과 옛것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과거와 현재 그리고 과거와 미래가 서로 대화를 하게 하는 해석학적 순환의 관계에 있다는 점을 밝혀내는데 이 점이 독자들이 이 책을 읽어봐야 할 이유이다.

    이런 작업을 위해 황준걸은 유가의 시간관, 송명 리학의 집대성자 주희朱熹와 근대 사학의 큰 스승 전목(錢穆)의 역사관을 살피고 있다. 즉 이 책을 통해 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가 기원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 과정을 일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제를 통해 황준걸은 시간과 초시간, 구체와 추상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일방적으로 규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양자가 서로 맞물리면서 의미와 가치를 무한히 생성하는 계기를 설득력 있게 논의한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신정근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나와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에서 동양철학과 예술철학을 강의하면서 교학상장 중이며, 유학대학장ㆍ유학대학원장ㆍ유교문화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사)인문예술연구소를 운영하면서는 ‘강연+공연’이란 신인문예술의 길도 함께 찾고 있다. 『동양철학의 유혹』,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등의 대중적 글쓰기 영역과 『사람다움의 발견』, 『철학사의 전환』 등의 전문적 글쓰기 영역을 자유로이 횡단하고 있다. 동양철학의 현대적 재구성과 영역의 확장에 관심을 두고 텍스트를 깊고 넓게 읽는 데 주력하면서 이 과정에서 발굴되는 동아시아 학문의 도전 정신을 현재의 사상적 자원으로 축적ㆍ심화시키고 있다.

    황준걸(황쥔지에)

    국립대만대학 역사학과와 미국 워싱턴대학에서 수학했다. 국립대만대학 역사학과 특임교수와 인문사회고등연구원 원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국립대만대학 석좌교수[台大特聘講座教授]와 유럽지역연구원 원사(院士)로 재직하고 있다. 대만의 저명한 유학사상가이자 대만사 연구자이며, 대학 교양교육 분야의 권위자다.

     

    대표 저서로 『맹학사상사론 1ㆍ2』, 『동아시아 유학사의 신(新) 시야』, 『덕천일본 논어 해석사론』, 『동아시아 시야에서 본 쉬푸관(徐復觀)과 그의 사상』, 『동아시아 유교 문화교류에서 유가경전과 그 이념』 등이 있으며, 특히 『전후 대만의 교육과 사상』, 『Taiwan in Transformation, 1895~2005』, 『중국 농촌부흥연합위원회 사료 휘편』 등을 통해 전후 대만의 역사에 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했다. 이 밖에도 『변화 중의 대학 교양교육: 이념과 전망』, 『세계화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도전』 등의 저작을 통해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해왔다.

     

    교육부 학술상(2010) 등을 수상했으며, 2013년부터 대만 교육부 국가강좌를 맡고 있다.

     

     

    안성수

     

    김선혜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옮긴이 서문

    지은이 서문

     

    서론 유가의 인문정신 전통과 중국의 역사학

    1. 이끄는 말

    2. 유가의 인문 전통 속의 역사 의식

    3. 중국의 역사 사유 중 유가적 요소

     

    1부 중국적 역사 사유의 핵심과 발현

     

    1장 중국 전통 역사 사상 속의 시간 개념과 그 특질

    1. 이끄는 말

    2. ‘시간에서 추출해낸 초시간

    3. ‘시간초시간의 등장

    4. 결론

     

    2장 중국의 역사 서술에서 사론史論의 작용과 이론적 문제

    1. 이끄는 말

    2. 전통적 중국의 역사 서술에서 의 관계 변화

    3. 사론의 작용(1): ‘개별[殊相]’에서 보편[共相]’으로

    4. 사론의 작용(2): ‘으로 를 풀고 의 거울로 삼다

    5. 사론의 작용(3): ‘사실 판단도덕 판단을 어우름

    6. 결론

     

    2부 유가 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의 전개

     

    3장 중국 고대에서 유가적 역사 사유의 방법과 운용

    1. 이끄는 말

    2. 유가적 역사 사유 속의 시간개념

    3. 유가적 역사 사유의 방법: ‘

    4. 고대 유가적 역사 사유의 운용

    5. 결론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