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학의 새로운 모색

  • 출판부도서
  • 인문
    • 기획도서
    • 대동문화연구총서
출간일 2018-12-31
ISBN 979-11-5550-312-6
면수/판형 신국판(152 X 225)·476쪽
가격 25,000원
종이책구매
바로가기
  • 알라딘
  • interpark
  • 교보문고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고전 문헌이라는 다양한 대상을 고전학이란 시각에서 심층적으로 검토한

    이 책은 14편의 논문을 통해 한국 고전학의 여러 측면을 보여준 전문 학술서

    이 책은 고전학을 새롭게 모색하려는 취지에 부합하는 논문 14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 수록된 논문은 한국 고전학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단행본으로 묶을 만한 가치와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4부로 나누어 편집되었는데, 각 부의 특징 및 개별 논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고전학 서론은 고전학의 개념과 범위, 서양과 동양의 고전학에 대한 접근 방향을 다룬 3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안대회의 논문은 한국의 국학이 고전학이란 명칭을 통해 보편학문으로 나아가야 하며, 정전화와 정본화를 통해 고전학의 기초를 확립해야 할 단계임을 주장했고, 안재원의 논문은 보편학문으로서 서양고전문헌학의 소개를 주축으로 하되 동양의 문헌학과 관련성을 함께 논했으며, 衣若芬의 글은 동양 고전학의 새로운 범주를 설정해 텍스트와 도상을 연관해 연구하는 文圖學이란 새 개념을 설정하고 그 가능성을 탐색했다. 각 영역에서 고전학의 개념과 의의, 연구 방향을 다루고 있어서 이 책 전체의 서론에 해당한다.

    2고전학 방법론4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노명호의 논문은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 고려사 문헌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서 친족제도유형의 개념체계를 사례로 들어 사료해석과 사실 파악의 문제를 검토했고, 김경호의 논문은 전국(戰國)과 진한(秦漢)시기 출토문헌자료와 <사기(史記)> ?진시황본기?를 비교 검토해 진시황의 사망과 관련한 역사적 사건에 관한 새로운 견해를 도출했고, 권기중의 논문은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현황과 연구 방향을 검토해 조선후기 사회의 모습을 재구성하는 문제를 다루었으며, 이영호·함영대의 논문은 디지털 경전주석학이란 이름으로 한국경학자료시스템을 분석해 한국의 경학자료 DB 구축과 이를 활용한 경학연구의 새로운 지평과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3부와 제4고전 자료 새롭게 읽기는 모두 7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먼저 제3부의 권순회의 논문은 시조집이란 문헌에 초점을 맞추어, 작자의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無名氏의 작품을 중심에 놓고 18세기 가집 편찬의 흐름을 분석해 시기별 특성과 계보를 탐색했고, 정우봉의 논문은 申光河의 <遊白頭記>, 洪重一의 <白頭山日記>, 金肇彦의 <白頭山記>를 학계에 처음 발굴해 소개함으로써 백두산 유기를 확장했으며, 이창숙의 논문은 ?동상기?를 비롯한 조선의 한문극본 3편을 분석해 희곡으로서 지닌 체제와 장르적 특성을 도출했다. 3부에 실린 글은 문학의 영역에 속하는 고전 문헌 가운데 시조집, 유기, 희곡과 같은 특정 분야의 자료를 연구하는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었다.

    4부에서 정민의 논문은 정약용이 저술한 미완의 저작 <備禦考> 30권의 행방을 추적한 것으로,. 저작자와 권수, 내용 등 여러 면에서 혼동되어 무관심 속에 방치된 국방 관련 중요한 문헌을 추적하고 고증해 저작자와 권수 등을 복원했다. 진재교의 논문은 조선후기의 서류(類書)와 인물지(人物志)라는 문헌에 주목해 주요한 유서와 인물지를 조사하고 분석해 지식·정보를 집적하고 분류하는 문헌의 서술적 특징을 분석했으며, 박철상의 논문은 대표적인 금석문 탁본첩과 목록집을 조사하고 분석해 조선시대 금석문의 정리 현황과 정리 방향을 제시했으며, 백민정의 논문은 <增補 明南樓叢書>에 수록된 여러 작품들을 통해 최한기 사상을 주자학과의 관계에서 재조명했다.

    이 책에 수록된 논문들은 일반적인 관점에서부터 특수하고 구체적인 분야까지 한국 고전학의 여러 측면을 고루 다루면서 글쓴이의 전문 분야와 관심사에 따라 다채로운 시각을 보여주었다. 이 책이 고전 문헌을 다루는 전문 연구자와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젊은 연구자들에게 제공된다면 연구와 사유의 폭을 넓히고, 참고와 독서에 편리함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고전 문헌이라는 다양한 대상을 고전학이란 시각에서 심층적으로 검토해본 이 책이 대동문화연구원의 새로운 60년을 위한 기초가 되고, 나아가 21세기 인문학 연구에서 한국 고전학이 더 과학적인 토대 위에서 인류 보편의 가치를 드러내는 학문적 단계로 나아가는 데 도움과 자극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안대회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인문학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5년 제34회 두계학술상, 2016년 제16회 지훈국학상을 수상했다. 폭넓은 사유로 옛글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유려하면서 담백한 필치로 선인들의 삶을 차근히 소개해왔다.

    저서에는 『조선후기시화사』,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선비답게 산다는 것』, 『벽광나치오』, 『궁극의 시학』, 『담바고 문화사』, 『내 생애 첫 번째 시』, 『조선의 명문장가들』 등 다수가 있고, 번역서에는 『해동화식전』, 『완역정본 택리지』(공역), 『북학의』, 『산수간에 집을 짓고』, 『소화시평』, 『시평보유』, 『한국 산문선』 7ㆍ8ㆍ9(공역) 등이 있다.

    안재원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의약분

    南洋理工大學 中文系 敎授

    노명호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

    김경호

    성균관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중국 고대사(진한사)이며, 고대 동아시아사, 출토문헌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前漢時期 西域 境界를 왕래한 使者(2021), 漢代 西北邊境 私信構造와 주요 내용(2019), 전한시기 논어(論語)의 전파와 그 내용-새로운 출토문헌 논어제론(齊論)설과 관련하여(2018), 간독(簡牘)이란 무엇인가?(2017) 등 다수 의 논저가 있다.

     

    권기중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조교수

    이영호

    성균관대학교 졸업, 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저서 : ?조선중기 경학사상연구?(경인문화사, 2004) 외 공저 20여 종

    역서 : ?이탁오의 논어평?(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 외 단독 및 공역서 7

    논문 : ?공자와 부처 : ?논어? 주석사적 전통에서 바라본 유교와 불교의 교섭양상?(한국양명학회, 2016) 60여 편

    함영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한문학, 특히 경학을 전공했으며, 조선시대 학자들의 맹자 주석서를 연구하고 있다. 『성호학파의 맹자학』(2011), 『논리적 글쓰기를 위한 인문고전 100』(2014) 등의 저서와 「18~19세기 조선 맹자학의 주석서와 그 작자」, 「백운 심대윤의 학자적 자의식과 경전해석의 일 국면」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다산학술상 우수상(2009), 한국한문학회 우수논문상(2015) 등을 수상했다.

     

    권순회

    한국교원대 국어교육학과 교수

    정우봉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이창숙

    서울대 중문학과 교수

    정민

    한양대 국문학과 교수

    진재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박철상

    한국문헌문화연구소 소장

    백민정

     

  •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미디어서평
  • 서문

     

    1부 고전학 서론

    한국 고전학의 방향 / 안대회

    르네상스는 돌고 돈다! renascentia semper rotata! / 안재원

    文圖學 동양 고전학 연구의 새로운 시각 / 衣若芬

     

     

    2부 고전학 방법론

    고려시대 새로운 영역의 연구에서 사료와 개념체계의 관계 / 노명호

    同一史實, 相異記錄 / 김경호

    조선후기 호적 연구의 현재와 향후 과제 / 권기중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모색 / 이영호·함영대

     

     

    3부 고전자료 새롭게 읽기

    18세기 歌集 編纂無名氏 / 권순회

    신자료를 통해 본 18세기 白頭山 여행과 그 의미 / 정우봉

    조선 漢文劇本筆寫體制와 장르 특성 / 이창숙

     

     

    4부 고전자료 새롭게 읽기

    茶山 <備禦考>의 행방 / 정민

    조선조 후기 類書人物志學的 視野 / 진재교

    朝鮮時代 石文 자료의 정리에 대하여 / 박철상

    주자학적 독법에서 본 최한기 철학의 특징 / 백민정

최근검색도서

관심도서

TOP
출판부홈 카테고리 최근검색도서